사회 사회일반

국회의원도 '스마트폰 스트레스'

黨서 주니 받긴하지만 활용법 몰라 고민…<br>여야 '스마트정당' 내걸고 지급했지만 "관리등 어렵고 사용도 쉽지않다" 토로

최근 여의도 한나라당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의원들에게 지급될 스마트폰이 주인을 기다리며 책상 위에 놓여 있다. 오대근기자

SetSectionName(); 국회의원도 '스마트폰 스트레스' 黨서 주니 받긴하지만 활용법 몰라 고민…여야 '스마트정당' 내걸고 지급했지만 "관리등 어렵고 사용도 쉽지않다" 토로 임세원기자 why@sed.co.kr 최근 여의도 한나라당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의원들에게 지급될 스마트폰이 주인을 기다리며 책상 위에 놓여 있다. 오대근기자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여야가 스마트폰을 통한 '디지털 정치'를 펼치겠다며 경쟁을 벌이지만 정작 의원들은 '스마트폰 공포증'을 호소하고 있다. 중년층이 대다수인 이들은 비공개 회의와 면담이 잦은 국회 업무에 아직은 스마트폰을 활용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12일 여야에 따르면 한나라당은 '스마트 정당'을 내걸고 소속 의원과 보좌관ㆍ당직자들에게 KT와 SK텔레콤의 스마트폰을 지급했거나 할 예정이고 이들 업체와 함께 전용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했다. 이를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공문 결재를 받고 실시간 정책 투표도 실시할 계획이다. 민주당도 삼성전자의 안드로이드폰을 의원과 지역위원회 당직자에게 지급해 오는 4월부터 '모바일 정당 시스템'을 구축한다. 정당 중 가장 먼저 스마트폰을 도입한 민주노동당은 소속 의원들이 애플의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 몇 달 새 줄잡아 500여대의 스마트폰이 국회에 입성한 셈이다. 여야 지도부는 모바일 정당을 구축하면 지방선거를 맞아 '젊은 표심'을 잡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최신 전자기기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모습을 통해 정치권의 노회한 이미지를 벗고 트위터 폴로어(추종자)가 늘어나면 인기관리에도 유효하다고 판단하기 때문. 업계가 마케팅 효과를 기대해 수백개의 스마트폰을 지급하고 건당 10억원에 달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비용을 상당 부분 부담하는 점도 이유 중 하나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한 대씩 '선사' 받은 국회의원과 당직자 가운데에는 그저 모셔두고 있는 경우도 있다. 한나라당의 한 당직자는 "주니까 받기는 했는데 애플리케이션 활용법을 잘 모르고 보안 문제 때문에 쉽게 사용할 성싶지 않다"고 했고 또 다른 의원은 "당의 비품으로 지급받은 터라 전화번호를 내 마음대로 할 수 없어 연락망 관리가 어렵고 실제 현장에 가고 사람을 만나는 의정활동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