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휴대인터넷 장비개발 '기싸움'

KT·하나로·SKT·데이콤‥"중계기 우리가 먼저 개발" 자료 배포 신경전<br>사업자 선정 앞두고 유리한 고지 선점 '포석'

휴대인터넷 장비개발 '기싸움' KT·하나로·SKT·데이콤‥"중계기 우리가 먼저 개발" 자료 배포 신경전사업자 선정 앞두고 유리한 고지 선점 '포석' 정보통신부가 9월초 휴대인터넷 사업자 선정방안을 확정키로 한 가운데 사업참여 업체들이 휴대인터넷 핵심장비인 TDD방식 중계기 개발을 둘러싸고 한치 양보없는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26일 휴대인터넷 중계기 개발을 먼저 발표한 업체는 KT. 이후 한 두시간 간격으로 하나로통신, SK텔레콤, 데이콤이 상대에게 뒤질세라 ‘중계기 개발 완료’ 또는 ‘개발중’이라는 자료를 배포하는 등 휴대인터넷 사업이 ‘기 싸움’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TDD(Time Division Duplex: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 중계기는 기술적 문제로 개발이 지연돼 오다 이번에 3개 업체가 동시에 개발에 성공한 것. KT는 “에이스테크놀로지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중계기는 휴대인터넷 뿐 아니라 모든 TDD방식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중계기로 휴대인터넷망을 구축할 때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음영 지역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전망”이라며 “휴대인터넷 시험 시스템을 이용, 지하 3층에 중계기를 설치하고 지하 1~3층의 전파 음영 지역에 있는 노트북을 접속하는 모의 실험도 완료했다”고 밝혔다. KT의 이 같은 발표가 있자 하나로텔레콤도 “에어텍시스템, 하이게인텔레콤, 한텔 등 중계기 업체와 6개월간의 연구기간을 거쳐 TDD방식 중계기 개발에 성공, 최근 일산지역에서의 현장시험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도 이에 뒤질세라 중계기 개발 발표에 합류했다. SK텔레콤은 “OFDM-TDD(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전송)방식 기술을 사용하는 휴대인터넷 시스템용 광중계기 및 RF중계기의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히고 “광중계기는 기지국을 대치, 기지국의 10%에 불과한 저렴한 비용으로 옥외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장비”라고 강조했다. 한편 SK텔레콤은 2종의 중계기 외에 성능이 개선된 휴대인터넷 기지국용 필터 및 듀얼밴드안테나, 단말기용 듀얼밴드 결합기 등도 개발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데이콤도 이날 오후 “알트론, 인텍웨이브 등 2개 업체와 TDD 중계기를 개발 중이며 다음달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중계기 발표 전쟁에 막차를 탔다. 우현석기자 hnskwoo@sed.co.kr 입력시간 : 2004-08-26 17:2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