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부동산시장, 행정수도 정부대책에 '촉각'

헌법재판소의 행정수도이전 위헌 판결 이후 충청권을 비롯한 전국의 부동산시장이 정부가 내놓을 대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5일 부동산중개업계에 따르면 행정수도 이전 위헌 판결 이후 충청권 시장은 여전히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일부 급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대다수는 정부의 후속 대책을 기다리며 관망하는 분위기다.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 D공인 관계자는 "이해찬 총리가 대독한 대통령의 시정연설에서 언급한 국토균형 발전은 지금껏 나왔던 얘기라 시장에서 특별한 반응은 없다"면서 "행정수도의 대안이 명확히 제시된 뒤에야 시장이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기군 남면의 K공인 관계자는 "위헌 결정 이후 시세보다 20% 정도 싼 급매물이2건 나왔지만 전혀 찾는 사람이 없자 다시 매물을 거둬들였다"면서 "이왕 이렇게 된것 정부 대책이나 들어보고 매도를 결정하려는 것같다"고 밝혔다. 대전 노은지구 신세계공인 관계자도 "최근 20억원짜리 상가 계약을 했다 위헌결정 이후 계약을 깨고 싶다는 사람이 있었는데 계약금을 포기해야 한다고 하니 정부 대책이 나올 때까지는 (계약을 깨지 않고) 지켜보겠다고 하더라"라고 전했다. 충남 서천과 보령 등에서도 실망한 급매물이 쏟아지고는 있지만 매수세가 실종돼 거래는 없다. 서천 O공인 관계자는 "위헌 발표 이전에는 하루 10여 통씩 문의 전화가 왔는데그 이후에는 한 통도 없다"면서 "정부의 대책 발표 이후에나 사려는 사람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사 이익이 기대되는 수도권 시장에서도 아직 큰 변화는 없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미래공인 관계자는 "헌재의 위헌 결정 이후 오히려 문의나 거래가 더욱 뜸해진 것같다"면서 "아직 시장이 혼란스런 상황이라고 판단해 좀 더상황을 지켜본 뒤 투자에 나서려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정부종합청사가 있는 과천은 그나마 호가가 오르면서 다소 들썩이는 분위기지만 거래가 이뤄지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정부청사 인근에서 영업하는 D부동산 관계자는 "일부 단지의 호가가 오르기는하지만 거래는 성사되지 않는다"면서 "좀 더 상황을 지켜봐야겠다는 분위기가 많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