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2006 부동산시장 결산] (하)불경기와 규제로 얼어붙은 토지·상가

주택시장으로만 돈 몰려 '찬바람'<br>●토지-올 땅값 상승률 5.1%로 작년보다 조금 높지만<br>서울·충남등 호재지역만 껑충 나머지는 제자리<br>●상가-내수경기 침체 직격탄…1년 내내 고전 못면해<br>역세권·택지지구·단지내등 블루칩 상가만 인기


2006년 집값이 폭등하고 부동산시장이 온 국민에게 관심거리였지만 토지와 상가시장은 예외였다. 토지는 각종 규제로 인해 전반적으로 투자 열기가 크게 감소했고 상가는 더딘 경기 회복으로 찬바람을 맞았다. ◇양극화 심화된 토지시장=수치상으로 보면 올해 토지시장은 지난해에 비해 땅값이 소폭 상승했지만 거래량은 다소 감소했다.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올 1월1일부터 11월까지 땅값 상승률은 5.10%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상승률 4.98%보다 다소 높은 수치다. 하지만 각종 개발사업 호재가 있는 지역이 전체 땅값 상승률을 주도했을 뿐 대부분의 지역은 지난해보다 지가 상승률이 둔화되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서울의 지가 상승률은 전국평균(5.10%)보다 크게 높은 8.28%로 주로 뉴타운 개발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졌다. 이는 4년 만에 최고치이다. 용산미군기지 이전의 호재가 있는 용산구와 뚝섬개발이 가시화 된 성동구의 땅값이 급등했다. 충청남도는 지난해보다 상승률이 다소 둔화(8.32→5.29)됐지만 행정중심복합도시 및 기업도시 개발 호재로 서울과 더불어 전국 땅값 상승을 이끌었다. 예산군과 연기군은 행정중심복합도시 영향으로 홍성군은 충남도청 이전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대전은 지난해 6.80%의 상승률에서 올해 3.94%로 크게 떨어졌으며 경기, 전남, 경남, 제주 등도 지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올해 토지거래는 급격히 위축됐다. 11월까지 거래된 토지 필지수와 면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각각 7.0%와 28.4%가 줄었다. 최근 신도시 추가 지정 및 확대 발표 등으로 9~11월 큰 폭의 거래가 발생했음에도 정부의 각종 규제가 토지 투자 심리를 크게 위축시킨 것으로 보인다. 김학권 세중코리아 대표는 “강력한 정부 규제로 전체적으로 시장이 위축됐다고는 하지만 각종 개발지역 중심으로 엄청난 토지보상금이 주변 토지에 재투자되면서 지가 상승을 부추겼다”고 말했다. ◇고전 면치 못한 상가시장=병술년(丙戌年) 상가시장은 연초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과는 달리 내수시장 침체로 일년 내내 고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8ㆍ31대책을 비롯해 주택과 토지시장에 정부 규제가 잇따르면서 안정적인 고정 수입이 기대되는 상가시장이 부각될 것이라는 기대감과는 달리 판교청약 열풍, 5ㆍ31 지방선거, 2006 독일 월드컵, 기반시설부담금제 시행이 연이어 악재로 작용하고 금리인상과 고유가 파장이 투자수요의 심리를 크게 위축시켰다. 장기불황과 공급 과잉으로 자영업자들은 잇따라 도산했고 대형할인점이 동네 구석구석을 파고들며 상권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중앙차로 도입 후 상권에도 변화가 왔으며 바다이야기 사태는 상가 공실률을 높이는 원인이었다. 이 같은 불안요소를 피해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수익이 기대되는 역세권 상가, 택지개발지구 내 근린상가, 단지 내 상가로 더욱 몰려들었다. 과열 양상을 보이며 동탄 4-4블록의 단지 내 상가는 평당 9,00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에 낙찰됐고 내정가만 4,300만원에 입찰에 부쳐진 상가도 등장했다. 박대원 상가정보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올해 상가시장은 양극화 심화로 결론낼 수 있다”며 “돈이 되는 곳에만 투자자가 몰린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입증한 셈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