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리막 美경제 '전력난' 또 악재

내리막 美경제 '전력난' 또 악재 캘리포니아州 단전사태 파장 캘리포니아의 단전 사태로 지역경제가 비상에 빠진 것은 물론이고 경착륙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미국경제는 전력난이라는 새로운 악재에 부딪혔다. ◇비상사태 배경=미국 캘리포니아 주정부가 단전조치, 나아가 비상사태를 선언한 것은 16일 주 전역 전력예비율이 1.5% 이하로 내려가는 등 전력난이 심각해진데 따른 것이다. 현재 캘리포니아는 전력 사용분의 45%가 부족한 상태. 캘리포니아의 전력난은 몇 달 전부터 예고됐던 것이다. 그 출발은 지난 98년부터 실시됐던 발전소 민영화 조치. 캘리포니아주는 각 발전소를 민영화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각 가정과 기업으로 배분하는 업무는 공기업 성격을 띤 전기 공급회사로 옮겼다. 문제는 최근 이 지역의 전력 수요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발전소들은 요금을 올렸던 반면 전기 공급사들은 정부 규제 때문에 전기 요금을 인상하는데 제한을 받았다. 이 때문에 전기공급사들에는 적자가 쌓이기 시작했고 최근 몇 달동안 입은 손실 규모는 12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임시방편으로 주 정부는 당분간 전기요금을 7~15% 인상하는 조치를 취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은 아니었다. 캘리포니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전력공급사인 에디슨 인터내셔널의 자회사인 '서던 캘리포니아 에디슨(SCE)'이 전력도매 회사등에 5억9,600만달러를 지급하지 못하겠다고 선언하는 등 부도 위기에 직면해있다. 또 신용평가회사인 스탠다드&푸어스(S&P)가 에디슨 인터내셔널과 또 다른 전력공급사인 '퍼시픽 가스 앤드 일렉트릭'의 신용등급을 투자부적격 단계로 낮춰 이들 기업에 대한 부도 위기까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비상대책 및 조치=주정부는 17일부터 북부지역의 50만 가입자들에 대해 90분씩 돌아가며 전기공급을 중단하는 제한정전을 실시했다. 주정부는 또 직접 필수전력을 다는 주에서 구매, 소비자들에게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병원과 공항등 전력공급이 필수적인 시설에 대해서는 전력을 평상시처럼 공급키로 했다. 한편 연방정부는 대책반을 구성하는 등 전력난이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책 마련에 나섰다. 또 전력공급사를 파산시키겠다고 위협하고 있는 전력도매사도 달래고 있다. 상원은 이들이 주정부와 장기 계약을 맺고 전력을 시장 가격의 1/5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주정부에 권한을 부여할 방침이다. ◇파장=캘리포니아의 전력난 문제가 이처럼 비상사태 선포로까지 악화되면서 가뜩이나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는 미국 경제가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실리콘 밸리 등 주요 IT업체들이 상주한 지역이 대거 분포돼 있어 미국 경제의 경착륙은 캘리포니아에서 시작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나오고 있다. 이 지역은 미국 국내총생산의 14.6%를 차지할 정도로 미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이 때문에 현재 백악관까지 나서서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등 비상 대책 마련에 나섰다. 현재 많은 주민들이 정전 사태에 따라 불편을 겪고 있으며 엘리베이터에 갇히는 등 사고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전력 공급을 필수로 하는 실리콘 밸리 지역의 많은 기업들이 자가발전기를 구입하는 등 스스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최원정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