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결핵균 이용 암치료 백신 개발

신성재·박민영 교수 연구팀<br>연구결과 '암 연구'誌 게재

국내 연구진이 결핵균을 이용해 암을 치료하는 백신을 개발했다.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결핵균을 이용해 또 다른 강력한 질환인 암을 치료한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연구 성과다. 충남대 의대 신성재 교수와 부산대 의대 박영민 교수팀은 결핵균의 특정 단백질과 세포(수지상세포)를 이용해 암 치료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백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입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암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암 연구(Cancer Research)'지에 최근 게재됐다. 지금까지 결핵예방백신으로 사용되는 BCG균(결핵균 변종)은 임상시험 결과 당뇨와 암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부작용 때문에 암 치료 백신 개발에 번번이 실패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결핵균 중 가장 강력한 병원성 인자인 '헤파린결합 헤마글루틴 항원(HBHA)'의 특성을 그대로 보유한 단백질을 만들었다. 이 단백질을 암에 걸린 생쥐에 주사하자 암 세포의 괴사가 촉진되고 종양의 크기가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신 교수는 "기존 연구는 암 자체의 항원을 발굴하는 데 집중했지만 면역세포요법 분야에서는 면역보강제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이번 연구는 결핵균의 특정한 항원을 면역보강제로 이용해 난치성 면역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경제적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