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대출왜곡 심화

6일 은행장회의 소집… 금감위 금융대책 논의>>관련기사 은행권이 여윳돈을 가계대출에 돌리면서 생긴 부실(연체대출금)이 올들어 9,000억원이나 급증했으며 일부 은행은 연체 증가율이 40%를 넘었다. 특히 연말ㆍ연초를 앞두고 회사채 등 자금시장 경색에도 불구, 은행권의 기업 대출회피 현상은 오히려 심해져 대출구조 왜곡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은 이에 따라 6일 오전 22개 은행장들을 긴급 소집, 은행권의 대출구조 왜곡을 시정하라고 촉구하는 한편 연말 자금시장 전반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4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현재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135조3,661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3조8,985억원이나 늘었다. 반면 기업대출은 217조2,287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조3,674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가계대출 증가액은 공공자금 등 은행권의 기타 대출금 증감액을 포함할 경우 총대출금 증가액(18조4,703억원)보다 많다. 경기침체와 맞물리면서 가계대출금은 연체로 이어지고 있다. 8월 말 현재 가계 부문의 연체대출금은 3조6,70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8,733억원이나 증가했다. 지난해 말 2.51%였던 가계 부문의 연체대출 비율이 8개월 새 2.71%까지 상승한 것이다. 특히 소매금융을 중심으로 한 통합 전 주택은행은 지난해 1조382억원(연체율 3.07%)이었던 연체대출이 8월 말에는 40.57%나 급증한 1조4,594억원(3.98%)에 달했다. 금감위(원)는 이에 따라 은행장회의에서 ▲ 은행권의 가계대출 편중현상을 시정하도록 촉구하는 한편 ▲ 회사채 등 자금시장 경색이 고착되지 않도록 은행권이 노력해줄 것을 당부하고 ▲ 최근 감독당국의 은행여신 점검결과를 토대로 신용대출 확대를 재차 강조할 계획이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은행권의 가계대출 편중과 연체 증가는 기업 대출 소외로 인한 자금시장 경색뿐 아니라 자칫 금리가 상승기조로 돌아설 경우 신용불량자 양산과 부동산값 급락 등 사회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영기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