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과학벨트 대전 확정] 지역 반응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로 대전이 확정된 16일 대전을 비롯한 충청권은 크게 반기는 반면 영호남은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대전시는 대덕연구단지의 과학기술 및 과학인력 인프라를 인정한 당연한 결과라며 기능지구로 선정된 충남ㆍ북 지방자치단체와 더욱 협력해 과학벨트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데 힘을 모을 것이라고 환영 입장을 내놓았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충청민 모두의 단합된 노력이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며 "대전은 물론 충청권이 과학기술의 거점지역으로 나아가 세계적인 과학벨트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했다"고 환영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대덕특구 신동ㆍ둔곡지구는 세종시와 맞붙어 있는 곳으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세종시와 과학벨트가 앞으로 상생하는 모델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시종 충북도지사는 "오송ㆍ오창의 기능지구 지정은 관련 업체 및 연구소의 오송ㆍ오창행을 이끌게 될 것"이라며 "과학벨트가 충청 지역 발전을 선도할 있도록 충청권 지자체는 더욱 유기적으로 협력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동안 사활을 건 유치전을 펼쳐온 경북도는 건설 중인 중저준위 방폐장의 반납과 법적 대응을 시사하는 등 강력 반발했다. 4일째 단식농성을 진행 중인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대덕지구 결정 소식에 "건설 중인 중저준위 방폐장과 신원전을 반납할 의사가 있다"며 "경북에 유치한 원자력 시설을 반납하고 과학벨트 평가기준의 불공정성에 대해 법적 대응을 하겠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그는 이어 "입지평가 과정에서 수도권 비대화를 조장하는 접근성 지표를 내세우고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를 같은 잣대로 비교하는 등 평가기준의 비합리성에 대한 소송을 위해 자문변호사와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과학벨트 범시도민 유치본부를 비롯한 지역 시민단체에서도 과학벨트 선정과 관련해 전면적인 정보공개 청구와 함께 입지평가 원천 무효 확인소송 등 법적 대응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광주에서는 윤봉근 시의회 의장 등 의장단 3명과 상임위원장 5명이 이날 정부의 과학벨트 입지 선정에 반발해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이들은 "호남권 소외와 차별에 앞장서 왔던 정부가 또다시 돌이킬 수 없는 잘못을 저지른다면 반드시 역사가 심판할 것"이라며 "입지선정의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과정 중에 잘못된 점은 반드시 바로잡아 국민이 납득할 만한 결과를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