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언론은 때리고 시진핑 달래고 중국 글로벌 CEO 길들이기

시 주석 칭화SEM 고문위 참석 "세계 이끄는 지도자" 치켜세워<br>경제계 월드스타 한자리에… 고문위 '파워' 에도 눈길 쏠려


중국 정부와 언론의 외국 기업 때리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들의 공적을 치켜세워 눈길을 끌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 외신들은 시 주석이 지난 23일 베이징의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열린 2013 칭화대 경제관리학원(SEM·한국의 경영대학원에 해당) 고문위원회 연례모임에 참석해 코카콜라·월마트·소니 등 다국적기업 CEO들과 회동했다고 보도했다. 시 주석은 "여기 모인 명망 있는 기업인들은 오늘날 세계를 이끄는 지도자이며 글로벌 경제에 대해 심오한 통찰력을 갖췄다"고 CEO들을 치하하는 한편 "여러분의 의견은 중국 정부에 중요한 참고가 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의 '칭찬'은 중국의 연이은 외국 기업 때리기로 움츠러든 기업인들을 다독이려는 의도라는 게 외신들의 평가다. 최근 CCTV 등 중국 언론은 스타벅스가 중국서 과다이윤을 남긴다며 집중 비판했고 이어 삼성전자가 휴대폰 기술결함을 고객들에게 떠넘긴다고 지적해 기어이 사과와 무상수리 약속을 받아냈다. 앞서 애플·폭스바겐도 유사한 방식으로 공격 당했고 제약업체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중국법인의 불법판촉 및 뇌물 스캔들이 터지며 막대한 손실을 입기도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에 대해 "중국 공산당 최고지도자(시 주석)의 발언은 글로벌 기업들이 용서를 받았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시 주석의 참석을 계기로 드러난 칭화 SEM고문위원회의 '파워'도 주목할 만하다. 주룽지 전 총리가 2000년 창립했으며 현재도 명예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 위원회는 세계 경제계의 스타 인사를 매년 10월마다 한자리에 불러 칭화대 발전방안은 물론 최신 경영전략을 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중국 제일의 명문대인 칭화대에 몰려든 전도유망한 인재들에게 '대가(大家)'들을 곁에서 보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위원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헨리 폴슨 전 미 재무장관을 비롯해 대니얼 애커슨(제너럴모터스·GM), 제이미 다이먼(JP모건) 등 선진국 대표 기업가는 물론 테리 고우(폭스콘) 같은 신흥국 대표도 눈에 띈다. 러우지웨이 재무부장, 왕치산 상무위원 등 중국의 지도급 인사도 위원이다. 팀 쿡 애플 CEO도 22일 가입했다.

관련기사



이 같은 위상에 걸맞게 위원회는 항상 최고급 국빈관인 댜오위타이에서 모임을 열머 류옌둥 국무위원이 매번 이들을 영접하는 등 중국 정부도 각별히 신경을 쓰는 모양새다. 지난해에는 주 전 총리가 참석해 화제를 낳기도 했다.

고문위원회가 연례모임과 함께 주최한 포럼에 참석했던 한 영미권 금융계 종사자는 "흔히 이런 종류의 위원회는 명목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SEM고문위원회는 서구권 최고 거물들과 중국의 인재들이 만나 최첨단 경제·경영지식을 쏟아내는 장"이라고 말했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