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가장 비싼 상가는 청평화시장

㎡당 1,500만원 넘어<br>강남 피엔폴루스는 오피스텔 ‘최고’

전국에서 가장 비싼 상업용 건물은 서울 청평화시장으로 ㎡당 기준시가가 1,500만원을 넘었다. 서울 강남의 주거용 호화 오피스텔인 피엔폴루스는 전세가 급등 영향으로 ㎡당 기준시가가 499만1,000원으로 33.3%나 급등했다. 국세청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되는 상업용 건물과 오피스텔 기준시가를 28일 고시했다. 기준시가는 양도소득세, 상속ㆍ증여세 계산 때 활용된다. 기준시가는 오피스텔이 7.45%, 상업용 건물이 0.58% 상승했다. 오피스텔의 기준시가 상승률은 2008년(8.3%) 이후 최고다. 상가 기준시가는 2009년부터 떨어지다가 4년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국세청의 한 관계자는 “오피스텔은 올해 전세가 상승과 수익형 부동산 수요 증가로 기준시가가 올라갔다”며 “상업용 건물은 경춘선 개통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과 지방 부동산을 중심으로 값이 뛰었다”고 설명했다. 서울 중구 신당동 청평화시장(1,509만9,000원)은 상권 회복으로 전년 대비 12% 올라 기존 3위에서 전국 최고가 상가로 기록됐다. 1,2위였던 종로6가 동대문종합상가 D동(1,421만5,000원)과 신당동 신평화패션타운(1,395만3,000원)은 기준시가 변동이 없어 한 계단씩 내려앉았다. 오피스텔은 호화 주거용이 몰려 있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부상이 눈에 띈다. 초대형 오피스텔 건물인 피엔폴루스는 8위(374만3,000원)에서 최고가 오피스텔로 올라섰다. 인근의 상자리츠빌카일룸3차(451만1,000원), 네이처 포엠(435만6,000원)도 기준시가가 각각 5.26%, 24.13% 올라 2위(전년 3위), 3위(9위)로 올라섰다. 1위였던 경기 성남 분당의 타임브릿지(434만8,000원)는 분당지역 부동산가격 침체 영향으로 3.84% 내려 4위로 떨어졌다. 지역별로 보면 오피스텔은 부산(10.76%), 경기(8.25%), 서울(7.64%), 울산(6.02%), 대전(5.37%), 인천(0.9%), 광주(0.52%) 등이 모두 올랐다. 대구만 0.48% 하락했다. 상업용 건물의 기준시가는 부산(4.2%), 대구(3.7%), 울산(2.74%), 서울(1.73%), 인천(0.06%) 지역이 상승했으나 대전(-1.74%)과 경기(-1.02%)는 내렸다. 부산은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 상승률이 모두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