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경기부양책이 먹히지 않는다…'토탈 공포’확산

美 국채 수익률, 50년대 수준으로 급락…"안전자산 확보 혈안"


뉴욕 증시가 4일(이하 현지시각) 금융 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폭락하자 전세계 금융시장이 일대 혼란에 빠졌다. 시장 불안을 보여주는 '공포 지수'(VIX)도 '레드 존(위험구역)'인 30을 훌쩍 뛰어넘어 경각심이 확산됐다. 로이터와 CNN 머니는 뉴욕 증시의 3대 지표인 다우존스 지수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 그리고 나스닥이 4일 하루에만 4~5%대 폭락했음을 상기시키면서 지난달 중순 이후 모두 10% 이상 빠지는 대(大) 조정 국면에 빠졌다고 분석했다. 월가 관계자들은 “지난 2주 사이 투자자들이 경기 부양이 신기루였음을 절감하게 됐다”면서 “이 때문에 투매가 이어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공포 그 자체가 공포인 상황"이라고 표현했다. 투자자들의 심리를 보여주는 VIX의 경우 4일 하루에만 무려 35% 이상 급등해 31.66까지 치솟아 지난해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승폭도 금융 위기 직전인 지난 2007년 2월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CNN 머니는 VIX가 올들어 77%가량 상승했다면서 30은 '공포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유로 퍼시픽 캐피털의 피터 시프 대표는 CNN 머니에 "월가의 통념은 '경제는 성장한다'는 것이었지만 이제 경기 부양이 먹히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사람들이 깨닫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다른) 침체로 가는 게 아니냐는 경각심이 확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계 최대 머니 매니저인 블랙록의 봅 돌 수석 증시 전략가도 지금의 상황을 "토탈(total fear) 공포"라고 표현했다. 스터트랜드 이퀴티의 VIX 옵션거래인 루크 라바리는 블룸버그에“지금 시장을 지배하는 것이 바로 공포”라면서 “유럽 은행의 부실과 유로 채무 위기, 그리고 미 경기 하강을 월가가 특히 걱정한다”고 지적했다. 이런 관측은 채권 수익률로도 뒷받침돼 10년 만기 미국채 수익률이 지난 50년대의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미 경제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달리 대안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안전 자산' 수요가 몰리면서 미국채 가격이 급등했다는 의미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국채 수익률은 4일 오후 뉴욕에서 전날보다 0.21%포인트 하락해 2.41%를 기록했다. 2년물도 이날 8베이시스포인트(1bp=0.01%) 하락해 기록적으로 낮은 0.25%에 거래됐다. 수익률은 가격과 반대로 간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메릴 린치의 선진시장 분석 책임자 에탄 해리스도 "극심한 공포 때문에 닥치는대로 안전 자산을 사들이는 것"이라면서 "현금 확보도 러시를 이루고 있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공포 자체에 대한 공포가 크다'는 제목의 5일자 사설에서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정책 당국자들이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서로 기싸움했으나 이제는 그 싸움에 투자자들도 본격적으로 가세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불을 끄려는 노력이 '내전 확산' 국면과 맞물리면서 더 이상 효과를 내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사설은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