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문수-정몽준 대권·당권 분리 반대

한나라당 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19일 대권·당권 분리규정에 대해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한나라당의 대권·당권 분리규정은 제왕적 총재의 등장을 막으려고 지난 2005년 만든 것으로, 대선 후보 경선 출마자는 대통령선거일로부터 1년6개월 전에는 당 대표 등 선출직 당직에서 사퇴하도록 하고 있다. 정 전 대표는 이날 경기도청 특강에 앞서 김 지사와 가진 티타임 자리에서 “대권·당권을 분리하면 ‘관리형 당대표’가 나온다. 이는 한나라당이 정당이기를 부정하는 정당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뽑히는 최고위원 9명중에 지명직 2명을 제외하면 선출직 7명이 (대권·당권 분리규정으로) 제한을 받는다”며 “지금 변화와 쇄신을 말하는데 이러한 변화를 추진할 중심세력이 한나라당에 없게 된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그 동안 언론이 주류, 비주류란 단어를 썼는데, 제가 한나라당에 와서 보니 주류가 없는 것이 문제”라며 “당에 중심세력이 없는 만큼 새로운 주류를 만들 시점”이라고 했다. 또 “내년 총선·대선에서 한나라당이다 어렵다고 하는데 안타까운 것은 변화를 원하는 사람이 반대하는 것”이라며 대권·당권 분리규정을 지지하는 소장파들을 비난했다. 김 지사도 “당이 구조적으로 7명의 발을 묶어두는데 그 리더십이 어디서 나오느냐. 대선에 나올만한 사람은 다 당을 못 끌면 누가 당을 이끄냐”며 “정 전 대표와 전적으로 같은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 전 대표는 김 지사에 대해 “저는 (서울대)경제학과를 김 지사는 (서울대)경영학과를 다녔지만 (나와)정반대로 살아 왔다”며 “자기가 젊었을 때 생각했던 것이 나중에 틀렸다고 생각했을 때 그것을 고칠 수 있는 지혜나 용기가 있는 사람”이라고 평가했고, 김 지사는 “지난 6.2지방선거에서 정 전 대표가 당대표로서 땀 흘리며 저를 직접 도와줬다”며 호의를 보였다. 이날 기자 간담회에서는 정 전 대표는 김 도지사와의 관계를 묻는 질문에 "학교 동기·동창인데다가 좋아하고 존경하는 분"이라며 "지난해 지방선거때 김 도지사의 지원유세를 했는데 편안했고, 행복한 기분까지 느꼈다"고 말했다. 또 “(김 도지사가) 당의 어려움에 대한 분석과 인식, 대북 정책에 대한 생각이 나와 많이 같다”며 “잠재적 경쟁관계 라고도 할 수 있지만 공동가치 실현을 위한 궁극적인 협동관계”라고 덧붙였다. 정 전 대표는 정부 정책과 관련해서는 “국민들의 쾌적한 주거생활을 위해 정부가 적극 도와줘야 하는데 시장경제 운영의 기본 틀과 맞지 않은 정책 때문에 ‘전세난’이라는 결과를 낳았다”며 “공공임대주택 보다 분양주택을 늘려 이 같은 문제를 야기 시킨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인적으로 교육 문제에 관심이 많다. 대학 등록금은 대학의 수준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해결해야 하는데 등록금을 낮추기 보다는 장학금을 많이 만드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