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국정원 수뇌부 개편… 외교라인 교체 신호탄

1차장 전재만·3차장 이종명씨

국가정보원에서 해외 및 대북업무를 담당하는 제1차장과 과학ㆍ산업ㆍ방첩 업무를 맡는 제3차장이 4일 전격 교체됐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국가정보원 제1차장에 전재만(56) 주(駐)중국대사관 공사를, 제3차장에 이종명(54) 합동참모본부 군사기획부장을 각각 내정했다. 전 1차장 내정자는 부산 출신으로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 13회로 외무부에 들어가 주일본 1등 서기관, 주광저우 총영사, 외교통상부 본부대사 등을 지낸 전문 외교관이다. 충남 출신인 이 3차장 내정자는 육군사관학교 35기로 임관해 합참 전력발전부장, 민군심리전부장, 12사단장 등을 역임했다. 현역 군인을 국정원 차장으로 인사 발령한 것은 국가안전기획부에서 국가정보원으로 이름과 체제가 바뀐 후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인사는 국정원이 인도네시아 특사단의 숙소를 침입해 국제적인 망신을 자초한 이른바 '인도네시아 스파이 사건'에 대한 문책성격을 지닌다. 김남수 전 3차장은 인도네시아 특사단 숙소 잠입 사건과 관련해 지난달 사표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은 인사 배경에 대해 "국정원의 조직 분위기를 쇄신하고 업무 추진력을 제고하기 위해 이번 인사를 단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국정원 인사는 전 1차장 내정자가 외교관 출신으로 홍콩과 광저우ㆍ베이징에서 다년간 근무했고 이 3차장 내정자가 현역 장성이라는 측면에서 급변하는 북한 정세에 맞춰 국정원의 대북 업무가 강화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이번 인사가 대외정책 및 남북문제와 관련, 미숙함을 지적 받아온 현 정부의 외교안보 라인에 대한 본격적인 정비의 '신호탄'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정원 차장급 인사를 시작으로 4강 대사를 비롯한 외교안보 라인의 대대적인 정비에 착수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숙 전 1차장은 4강 대사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으며 권철현 주일 대사는 내년 총선 출마를 위해 교체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원세훈 국정원장은 이번 인사에서 확실하게 재신임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원 원장에 대한 이 대통령의 신임은 확고하다"며 "하반기에도 국정원장 인사는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