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5·6 개각] 막전막후

MB '지역안배' 고민 거듭한듯<br>발표 지연에 각종 추측 난무

이명박 대통령의 집권 이후 6번째 개각이 막판 심한 진통을 겪었다. 이 대통령은 4ㆍ27 재보궐선거 결과에 따른 쇄신을 위해 가급적 조속히 단행하겠다는 개각 인선을 6일 오후 늦게까지 결심하지 못하다가 이날 오후7시가 돼서야 임태희 대통령실장을 통해 전격 발표했다. 청와대에서는 이날 아침 일찍부터 개각을 둘러싼 각종 추측들만 난무했다. 이날 오전 청와대의 한 핵심관계자는 “아무래도 개각이 7일로 넘어갈 것 같다”고 전했다. 휴일이자 신문제작이 이뤄지지 않는 토요일에 개각이 단행되기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청와대가 개각 발표에 한때나마 이처럼 ‘무리수’까지 고려했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무슨 말 못할 사정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됐다. 우선 이번 개각을 둘러싸고 권력 상층부의 심각한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고 이 대통령이 꼭 기용하기 바라는 특정 인사가 인사검증에서 걸린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다. 임 실장은 ‘개각발표 지연’ 사유에 대해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해외에 있었고 장관이 밖에 있는 상황에서 개각을 발표하는 것이 예의가 아니다”라는 설명을 했다. 하지만 그동안 개각 발표에서 당사자에게 불과 한 시간 전에 통보하는 일이 있을 정도로 세심한 배려가 없었던 점에서, 또한 개각이란 장관 개인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임 실장의 설명은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빈축을 샀다. 이번 개각에서 가장 큰 관심을 모았던 재정부 장관에 박재완 고용노동부 장관이 선임된 것은 ‘깜짝 카드’로 받아들여졌다. 당초 ‘경제총사령탑’인 재정부 장관에 모피아(옛 재무부)냐, EPB(옛 경제기획원)냐, MB 측근이냐가 막바지까지 관심의 초점이었다. 당초 교체대상으로 거론됐던 장관 자리는 기획재정부ㆍ통일부ㆍ농림수산식품부ㆍ환경부ㆍ국토해양부ㆍ법무부 등 모두 6개 부처였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복심(腹心)’인 박 장관이 재정부 장관 자리에 전격 기용됨으로써 추가적으로 고용부 장관 자리가 하나 더 빈 대신 통일부와 법무부 장관 교체는 다음으로 미뤄졌다. 당초 통일부 장관에는 초대 대통령실장을 역임한 류우익 주(駐) 중국대사가, 법무부 장관에는 권재진 청와대 민정수석이 유력하게 거론됐었다. 통일부 장관과 법무부 장관의 선임이 미뤄진 것은 ‘측근 인사’ ‘지역편중 인사’라는 비판이 제기될 것에 대한 우려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법무부의 경우 김준규 검찰총장의 교체시기인 7월에 함께 단행, 대구 출신인 권 민정수석과 새 검찰총장의 지역안배를 새롭게 맞춰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 인선이 늦춰진 것이다. 청와대 참모들은 개각이 늦어진 가장 큰 이유 가운데 하나로 ‘지역안배’에 대한 고민을 꼽았다.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날 오전 “개각 내용을 전혀 알 수 없다”면서 “지역안배 등에 대한 정리가 쉽지 않은 듯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