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생보사 텔레마케팅 영업 ‘흔들’

은행계 카드사들이 잇따라 모은행으로 흡수 합병돼 생보사의 텔레마케팅(TM) 영업이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됐다. 그동안 카드사들은 보험사의 주요 판매대리점으로 TM 영업의 핵심 창구 역할을 해왔지만 은행으로 합병되면 보험영업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전화를 이용한 보험영업 가운데 불특정 다수에게 전화를 걸어 계약을 체결하는 이른바 `아웃바운드`영업을 하는 생보사들이 은행계 카드사와 모은행과의 합병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카드사는 보험사의 판매대리점으로 등록해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고객자료를 활용해 보험상품 TM영업을 할 수 있지만 은행은 방카슈랑스 도입에 따른 창구영업만 가능하고 온라인 영업은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민카드를 보험대리점으로 등록시켜 TM영업을 했던 교보, 신한, SK, 라이나생명 등은 국민카드가 국민은행으로 합병된 후 TM매출이 10~15% 가량 줄었다. 중소 생보사의 한 관계자는 “국민카드의 영업이 중단된 후 초회 보험료 수입이 월 평균 1억5,000만원 가량 줄었다”고 전했다. 전체 매출의 90% 이상이 TM영업으로 이뤄지는 라이나생명은 영업에 더욱 큰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자사 보험대리점으로 등록돼 있는 외환카드가 이달 말 외환은행과 합병을 하기 때문이다. 이밖에 우리금융 계열의 우리카드도 우리은행으로 흡수될 예정이어서 AIG생명 등 일부 외국사들의 TM영업 역시 매출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생보사의 한 관계자는 “카드사는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을 보장했던 판매대리점”이라며 “은행계 카드사들의 합병으로 생보사 TM영업이 상당 기간 위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태준기자 june@sed.co.kr>

관련기사



박태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