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큰옷도 맘껏 골라 입어요"

비만인구 증가따라 '빅사이즈' 전문점 인기<br>맞춤제작등 서비스 강화… 2평가게서 年10억 매출도


“예전에는 사이즈가 없어 맞춤복을 입거나, 몸에 맞기만 하면 디자인을 가리지않고 사서 입었죠. 하지만 요즘은 예쁘고 세련된 큰옷이 많아져서 너무 기쁩니다.” 4일 동대문 쇼핑몰 두타 지하 1층의 한 ‘큰옷전문 매장‘에서 만난 김진경(33)씨는 매장에 진열된 큼지막한 쉬폰 블라우스, 미니 스커트 등을 둘러보며 즐거운 감탄사를 연거푸 내뱉었다. 다양한 디자인의 빅 사이즈 기성복을 취급하는 큰옷 전문점들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비만인구가 늘어나는데다 헐렁하게 옷을 입는 ‘멋쟁이’들이 늘면서 큰옷매장이 인기를 끌고 있는 것. 여기에 매장에 없는 사이즈는 따로 제작해 무료배송까지 해주는 등 고객 서비스도 한층 강화됐다. 동대문에서만 두타를 비롯한 청대문(구 거평프레야), 청평화상가 등 100여곳에서 큰 옷 전문매장이 성업중이다. 두타에서 ‘탐스룸’을 운영중인 이신자 사장은 “디자인도 안보고 사이즈만 맞으면 무조건 구입하던 고객들이 요즘에는 허리선이 들어가 여성스러움을 강조한 유행스타일을 많이 찾는다”며 “두꺼운 뱃살과 넓은 어깨가 커버 될 수 있게 디자인에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2평 남짓한 이 가게의 하루 매출은 400만원선. 온라인쇼핑몰까지 합쳐 연 매출이 10억원 정도다. 인터넷쇼핑몰에서도 큰옷전문점의 인기는 폭발적이다. G마켓에서는 플러스빅, 모파상 등 총 400여개의 매장에서 77~120사이즈의 큰옷들을 판매하고 있다. 이들 매장은 올들어 월평균 30~40%대의 매출 증가세가 계속되고 있다. 상품검색창에서 ‘큰옷’ ‘빅사이즈’등이 꾸준히 10위권 안에 들 정도로 인기가 대단하다. CJ몰에서도 BMK, CREBIG 등 6개 큰옷 브랜드 매장에서 정장부터 캐주얼, 청바지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있다. 강태은 상품기획자(MD)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작년보다 90%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GS이숍에서도 믹비, 공구우먼 등 10여개 큰옷매장이 월평균 5,000~6,000만원의 판매고를 올리며 성업 중이다. 이처럼 큰옷전문매장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해마다 늘어나는 비만인구 때문. 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비만인구가 전체의 32.4%에 달했다. ‘마른 체형’ 선호현상이 두드러지면서 ‘44사이즈’를 입는 사람이 늘어난 동시에 비만인구의 증가로 ‘77~180사이즈’를 입는 큰옷 고객도 함께 늘어난 것. 박성희 베스띠벨리 디자인 실장은 “최근 소비자들의 체형은 아주 말랐거나, 또는 뚱뚱하거나 두 가지로 점점 양극화되고 있다”며 ‘패션업체들은 이를 타깃으로 하는 사이즈마케팅을 경쟁적으로 벌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