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혁신도시, 인구 2만~5만 규모 자족도시로

건교부, 주거지역내 청소년 유해시설 제한등‘기본구상’ 마련

175개 공공기관이 이전하는 지방 10개 혁신도시는 50만~250만평 규모에 인구 2만~5만명의 자족도시로 조성된다. 도시건설에는 마스터플래너(MP)제도가 도입돼 계획 및 설계의 일관성을 꾀하고 주거지역 내 청소년 유해시설의 설치가 엄격하게 제한된다. 건설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혁신도시 기본구상’을 마련, 시ㆍ도와 사업시행자에게 전달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별 기본구상을 짜도록 했다고 9일 밝혔다. 기본구상에 따르면 혁신도시 목표인구는 이전 공공기관 및 산학연 클러스터 형성 규모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점을 감안, 오는 2020년까지 2만~5만명으로 설정했다. 개발 규모는 목표인구 수용을 위한 도시개발 면적, 이전기관의 특수성, 혁신 클러스터 소요면적, 유보지 면적을 토대로 융통성 있게 산정하도록 했다. 건교부는 자족기능과 쾌적성을 추구하는 신도시 수준(1인당 부지면적 25~50평)을 고려, 인구 2만명은 50만~100만평, 5만명은 150만~250만평의 규모를 각각 제시했다. 주거지역은 24시간 연구ㆍ개발시설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중심지구 가까이에 배치하고 주거지역에는 안마시술소와 단란주점, 여관 등 청소년 유해시설의 설치를 제한하도록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