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사용후 핵연료 임시 저장시설 포화시점 2024년으로 늦춰야"

19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사용후 핵연료 관리 대안 및 로드맵 원자력 분야 전문가 공청회'에서 장순홍 한국원자력학회 수석부회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동호기자

원자력발전 후 발생되는 핵연료의 임시저장시설 포화시점을 당초 계획한 2016년에서 2024년으로 최대한 늦추는 것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당초 정부는 2016년 이후에 사용후 핵연료를 중간저장 시설에 저장하려고 했으나 물리적으로 사실상 불가능해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원자력학회 컨소시엄은 19일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사용후 핵연료 관리대안 및 로드맵’에 대한 전문가 공청회를 개최했다. 연구용역을 진행한 송기찬 원자력연구원 박사는 “사용후 핵연료를 당초 계획처럼 2016년부터 중간 저장하려면 당장 내년부터 시설건설에 착수해야 가능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현실적인 대안은 포화압축기술 발전과 원전내 분산 관리 등을 통해 포화시점을 2024년까지로 최대한 늦추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지난 2004년에 253차 원자력위원회 회의에서 2016년을 기준으로 그동안 진행된 사용후 핵연료 관리대안 로드맵의 기준 시점이 2024년으로 늦춰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번 연구용역은 지난 2009년 12월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이 한국원자력학회 등에 용역을 발주해 1년 9개월간 진행됐다. 원자력학회는 사용후 핵연료 중기 관리 방안으로 2024년 포화되는 원전부터 원전별로 중간저장시설을 확보하는 대안과 2020년 초까지 별도의 독립된 부지에 중간저장시설을 확보하는 대안을 제시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울진, 월성, 고리, 영광 등 4개 원전 부지에 총 1만1,370톤(총 저장용량의 68%)의 사용후 핵연료를 저장중이다. 연간 사용후 핵연료 발생량은 약 680톤이어서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원전내 임시 저장시설이 포화될 것으로 예상됐었다. 국내 원전별로 원전 부지내 임시저장 시설 확충 등을 통해 최장 포화시점은 2024년(영광)~2028년(고리, 울진)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중간저장시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10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점으로 고려할 때 늦어도 2014년 이전부터는 사업에 착수해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박현수 연구용역 총괄책임은 “하루 빨리 사용후 핵연료와 관련된 정책위원회를 설립해 국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고 관련 법도 개선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자력학회 컨소시엄은 이날 전문가 공청회와 별도로 오는 29일 사회ㆍ언론계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최종공청회를 진행하고 오는 9월2일 최종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