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2012년 적외선 인공위성 쏜다

산불 탐지… 폐수 방류 잡아내고… 열섬현상 분석…<br>국가우주委 첫 회의-열추적으로 물체 식별…군사적 활용도 가능


적외선 카메라로 산불을 탐지하고 여름철 열섬현상을 분석하고 기업체의 온ㆍ폐수 방류 등을 잡아낼 수 있는 최첨단 적외선 인공위성이 오는 2012년께 발사된다. 국가 우주개발 정책의 최고 심의기구인 국가우주위원회(위원장 김우식 과기부총리)는 1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첫 회의를 열어 이 같은 기능을 갖춘 ‘다목적 실용위성(일명 아리랑) 3A호’ 개발 계획안을 심의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아리랑 3A’호는 2009년 발사 예정인 아리랑 3호의 후속위성으로 아리랑 3호에 장착되는 광학카메라에 열 추적으로 물체를 식별, 촬영할 수 있는 적외선 채널이 추가된다. 이 경우 높은 해상도(흑백영상 70㎝급)를 구현하면서 지상의 산불을 탐지할 수 있고 홍수 피해나 도심 열섬현상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 기업체의 온ㆍ폐수 방류나 화산활동을 감시하는 한편 항공기의 이ㆍ착륙 탐지가 가능, 군사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지구상공 450~890㎞의 저궤도에 발사되는 아리랑 3A호는 무게 1,000㎏에 수명은 4년으로 설계되며 해상도는 흑백영상의 경우 70㎝급, 적외선 영상은 7m급에 관측폭은 16.8㎞로 개발될 예정이다. 과기부는 아리랑 3A호 개발에 총 2,120억원을 투입, 2009년까지 적외선 센서 분야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이후 적외선 카메라 등의 탑재체를 국내 주도로 개발할 계획이다. 한편 과기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이날 초파리를 이용한 중력반응 및 노화유전자 연구, 무중력을 이용한 제올라이트 합성 등 한국 우주인이 2008년 4월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수행할 우주과학실험 18개를 선정했다. 과기부는 무중력 상태에서 얻은 실험 결과를 관련 산업계에 응용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