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기가 돌고 있는 아파트 시장과 달리 오피스텔 시장은 꽁꽁 얼어붙고 있다. 특히 올 들어 서울 지역에서 신규 공급된 물량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지난해 9월 전매제한을 앞두고 대부분의 물량이 일거에 쏟아져 신규 공급 자체가 줄어든데다 취득ㆍ등록세 등 다양한 세금감면 혜택이 제공된 아파트와 달리 오피스텔은 절세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경기침체로 강남권 오피스텔의 임대수익률이 4~5%를 밑돌고 있는 것도 수요자들이 투자를 망설이게 하고 있다. 17일 부동산114 등 업계에 따르면 오피스텔 신규 공급 물량은 아파트 등 공동주택보다 많은 세금부과와 경기침체 등이 겹치면서 지난해에 비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에서 지난해 총 10개 단지에서 1,076실이 공급됐지만 올해는 아직까지 공급된 사례가 없다. 올 하반기 서울 용산구에서 2개 단지가 공급을 준비 중이지만 이마저도 구체적인 공급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오피스텔 시장이 이처럼 고전을 면하지 못하는 것은 아파트보다 세금이 과하게 매겨지는 게 주 요인이다. 현재 오피스텔의 취득ㆍ등록세는 구입 대금의 4%로 여기에 교육세 등 세금이 붙어 약 4.6% 정도의 세금이 매겨지게 된다. 일반 아파트의 취득ㆍ등록세가 구입 대금의 2%이고 올해부터 서울을 비롯한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는 1%까지 할인 혜택을 받는 것을 감안하면 구입 단계에서 내는 세금만 약 4배가량 차이가 벌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오피스텔을 1억5,000만원에 구입할 경우 600만원 이상의 세금을 내야 하지만 3억원짜리 미분양 아파트를 구입한다면 300만원만 납부하면 된다. 몸값은 아파트가 2배 비싸지만 세금은 절반만 내면 되는 셈이다. 김종필 세무사는 “오피스텔은 주거용이 아니기 때문에 재산세나 취득ㆍ등록세 감면 등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세금이 오피스텔 투자의 주요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피스텔은 경매시장에서도 ‘찬밥’ 신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비교적 입지가 좋은 물건은 응찰자가 몰리고 있지만 대부분의 물건이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 2월 60%까지 상승했던 서울 오피스텔의 낙찰률은 꾸준히 하락해 6월 현재 31%선까지 급락했다. 10일 서울 구로구 오류동의 94㎡형 오피스텔은 감정가보다 1억4,000만원이나 낮은 2억7,001만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강은 지지옥션 팀장은 “오피스텔은 시세차익을 거두기 어려운 상품이기 때문에 안정적 수익 확보 여부에 따라 물건별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