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부동산시장 '10월 재보선 공약'에 촉각

"용산개발·강남 저층 재건축사업 등 새 모멘텀 찾을 것" 전망 잇따라

오는 10월 실시될 시장 재보궐선거를 계기로 재건축·재개발 등 각종 개발 공약이 쏟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표적인 강남 재건축 단지인 잠실 주공5단지 전경. /서울경제DB


서울 부동산 시장의 관심이 서울시 새 수장을 뽑는 10월 재보궐 선거에 온통 쏠렸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의욕적으로 추진해오던 한강르네상스 등 개발사업 중단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재보궐선거가 지지부진하던 일부 사업의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엿보인다. 선거 분위기가 고조될 경우 시장을 달굴 규제 완화 등 각종 공약이 쏟아질 것이라는 전망도 기대감을 더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31조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으로 불리는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이 오세훈 시장의 사퇴로 오히려 새로운 모멘텀을 찾을 수 있을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용산역세권개발은 용산역세권과 서부이촌동 일대 56만㎡에 100층 이상 초고층 랜드마크 빌딩을 중심으로 업무ㆍ주거ㆍ상업시설을 짓는 대규모 복합개발 프로젝트다. 초고층 랜드마크 건물을 코레일이 선매입하고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등으로 자금 조달 문제를 해결한 지금 용산역세권개발의 가장 큰 걸림돌은 서부이촌동 통합개발로 인한 주민과의 협의ㆍ보상문제다. 서울시가 용산역세권개발에 서부이촌동을 편입시킨 이유는 용산 개발이 오세훈표 대표 개발정책인 한강르네상스의 핵심이었다는 복안에서 비롯됐다. 이 때문에 오 시장 사퇴로 서부이촌동 분리 개발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는 것. D사 관계자는 "서부이촌동이 사업지구에 포함되면서 보상문제로 비용이 늘어나 사업성이 크게 떨어졌다"며 "서부이촌동을 배제한다면 오히려 사업이 탄력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코레일 측이 주장하는 용적률 상향에 대한 부분도 새로이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코레일및 용산역세권개발은 "608% 수준에 그치는 용적률을 최고 912%까지 올려 사업성을 확보해 달라"고 지속적으로 주장했지만 시는 '특혜 시비' 우려로 이를 거절해왔다. 강남권 재건축 추진단지들의 시선도 재보궐선거에 모아지고 있다. '개발'이야 말로 지역 주민의 마음을 가장 쉽게 움직일 수 있는 공약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재보선이 본격화되면 지지부진한 강남권 중ㆍ저층 재건축이 탄력을 받을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된다. 특히 한나라당의 경우 강남3구를 비롯한 지역구에서 25.7%의 확고한 보수 지지 세력을 확인한 이상 이들을 만족시킬만한 '당근'을 내놓을 수밖에 없지 않겠냐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 4ㆍ27 분당을 재보궐 선거에서 여야 후보 모두가 '아파트 리모델링'을 핵심 공약으로 들고 나온 바 있다"며 "재보선 선거를 계기로 재건축 규제 완화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대치동 은마, 잠실주공5단지, 가락시영 등 강남권 대표 중층 재건축 단지들의 경우 숙원인 '종(種)상향이 성사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내비치고 있다. 서울시는 그동안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 등을 이유로 이들 단지의 종상향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유지해 왔다. 이와함께 그동안 최장 40년인 재건축연한 단축을 추진해 왔지만 번번이 서울시의 반대에 부딪쳤던 목동신시가지나 상ㆍ중ㆍ하계동 등 노원구 일대 중층 아파트 역시 선거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부동산 관련 대책들이 거의 다 나왔음에도 거래 침체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며 "재보선 선거가 시장 분위기 반전의 모멘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