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아파트 주간 시세] 강남 재건축 1.02%나 떨어져


서울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이 급락했다. 한주간 값이 무려 1.02% 내렸다. 9월말에 이어 주간 하락률 최고치를 기록한 것. 개포지구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안이 보류되고 대치동 은마아파트 정비계획안의 주민 공람이 지연되는 등 재건축 관련 악재가 잇따르고 있는데 따른 영향이다. 1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은 0.06% 하락해 전주대비 하락폭을 키웠다. 8월 2주차 이후 15주 연속 내림세다. 신도시와 수도권 역시 -0.01%의 변동률을 보이며 약세를 이어갔다.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에선 재건축 단지의 연이은 악재와 거래 부진으로 ▦강남(-0.24%) ▦강동(-0.14%) ▦영등포(-0.13%) ▦마포(-0.09%) ▦서대문(-0.07%) ▦강서(-0.06%) ▦도봉(-0.03%) ▦광진(-0.02%) 등이 하락했다. 시장 하락세는 재건축 단지들이 주도했다. 주민공람이 지연된 대치동 은마 중형 주택이 1,500만~4,500만원 가량 하락했고, 거래 부진이 이어진 개포동 주공1,3단지도 1,000만~2,000만원 가량 내렸다. 강동구 명일동 삼익1차도 거래 부진으로 500만~1,000만원 정도 값이 떨어졌고, 여의도 소재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시범아파트 중소형 주택 등이 가구당 2,500만~5,000만원 가량 값을 내렸다. 신도시도 거래가 한산한 가운데 ▦일산(-0.02%) ▦평촌(-0.02%) ▦중동(-0.02%) ▦분당(-0.01%) 등이 소폭 하락했다. 산본 지역만 0.01% 미미하게 올랐다. 신도시 지역에선 중대형 주택들의 가격 하락세가 가팔랐다. 일산 장항동 호수삼환3단지, 일산동 후곡10단지, 주엽동 강선우성 등 중대형 주택이 가구당 500만~750만원 정도 내렸다. 평촌 호계동 목련두산, 우성7단지 중대형 아파트도 가구당 500만~750만원 가량 하락했다. 수도권도 10월부터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로 ▦고양(-0.05%) ▦김포(-0.05%) ▦인천(-0.02%) ▦용인(-0.01%) ▦오산(-0.01%) 등이 하락했다. 김포에서도 입주물량 부담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풍무동 양도마을서해, 감정동 신한아파트 등이 중대형을 중심으로 100만~500만원 가량 내렸다. 이사 비수기에 수요가 줄어들면서 서울 전세시장도 4주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주 서울 전세값은 -0.02%의 변동률을 보였으며 신도시도 0.01% 하락했다. 수도권은 보합세를 유지했다. 올 한해 전셋값 상승폭이 컸던 곳들을 중심으로 가격 조정이 나타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