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폭력남편보다는 차라리 교도소서…"

MBC 'PD수첩' 남편 살해한 아내 사건들 추적


지난 2월, 서울과 천안, 마산에서 같은 혐의의 재판이 동시에 열렸다. 피고인들은 모두 남편을 살해한 아내였다. 이들은 모두 심각한 가정 폭력을 겪으며 ‘매맞는 아내 증후군’에 시달리는 여성들이었다. 이들이 과연 일반 살인범들과 같은 취급을 받아야 하는 걸까. MBC ‘PD수첩’은 28일 오후 11시 5분 ‘나는 살고 싶었다 – 남편 살해 여성의 고백’ 편에서 현재 진행중인 남편 살해 아내 사건들을 추적해 사건 전후의 맥락을 짚어본다. “아들이 아버지를 살해하는 것을 제가 막아줬다는 게 위안이라면 위안일까요.” 남편을 죽인 죄로 복역중인 여성들의 탄식이다. 국내 유일의 여자 교도소인 청주여자교도소에 수감된 여성의 절반은 살인죄를 지은 사람들이다. 그 살인자의 절반은 바로 ‘남편’을 살해한 아내들이다. 법무부 의뢰로 충북대 김영희 교수팀이 지난해 5월부터 3개월 간 청주여자교도소 수형자 4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남편 혹은 애인 살인죄로 수감중인 249명 가운데 82.9%가 남성에게 학대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제작진은 청주여자교도소에 수감 중인 남편 살해 재소자 세 명을 만나 살인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택할 수 밖에 없었던 이들의 증언을 들어본다. 극심한 가정폭력에 노출돼 있던 이들은 “남편과의 1년보다 교도소 안에서의 10년을 택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이와 함께 살인자가 된 아내와 남은 아이들의 심리를 검사해보고, 대부분이 ‘매맞는 아내 증후군’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고 있음을 밝힌다. 국내에서는 인정되지 않았지만, 미국에서는 남편을 살해한 아내들의 판결과정에서 ‘매 맞는 아내증후군’이 증거로 채택돼 무죄 또는 감형의 사유로 인정되고 있다. 프로그램은 남편 살해 여성들을 단죄하는 과정에서 여성들의 심리적 충격이 법적인 판단 기준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