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불황으로 생계형 업종 종사자 10% 급증, 대리운전·간병인은 40%이상↑

경기둔화로 서민들의 삶이 팍팍해지면서 대리운전기사, 물품배달업자, 간병인 등 생계형 업종 종사자가 급증하고 있다. 또 스타의 꿈을 안고 연예산업으로 몰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1인당 평균소득은 오히려 줄었다. 25일 국세청 통계연보에 따르면 월급 등 고정급여를 받지 않고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사업소득자는 2010년 기준 373만9,000명으로 2009년(340만명)보다 10% 가량 늘었다. 근로소득을 신고하는 봉급생활자가 같은 기간에 1,429만명에서 1,518만명으로 6%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자유직업 종사자의 증가 폭이 훨씬 크다. 대리운전 기사는 3만2,000명으로 52% 늘었고 물품배달은 3만1,000명(40%). 간병인은 6만8,000명(41%)을 나타냈다. 자유직업인의 연간 평균 소득은 1인당 1,162만원에서 1,214만원으로 4.5% 늘어나는데 그쳤다. 업종별로는 개인 병ㆍ의원이 1억9,653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보험설계사 3,830만원, 직업운동가 2,633만원, 바둑기사 1,517만원이었다. 지난해 배우ㆍ가수ㆍ모델 등 연예계 종사자는 17만명 가량으로 1년 전보다 40%나 크게 늘었다. 연예업종 종사자를 보면 배우가 1만9,000명에서 2만8,000명으로 증가한 것을 비롯해 모델이 9,8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가수가 7,400명에서 1만1,500명으로 각각 늘었다. 작곡가와 연예보조는 1만4,500명, 10만4,000명으로 각각 26%, 36% 늘었다.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연예산업의 단면을 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연예업종은 종사자가 늘어난 영향으로 소득이 오히려 줄었다. 배우(1,377만원ㆍ-25%), 모델(380만원ㆍ-23%), 가수(848만원ㆍ-11.9%), 연예보조(443만원ㆍ-8%)), 작곡가(660만원ㆍ-8%) 등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