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재건축 매수세 '뚝' 문의도 끊겨

개발이익환수제 4월 시행 확실시…2·17 대책이후 집값 상승세는 이미 멈춰<br>법 시행 이미 예고돼 급매물도 아직 없어 "정책따라 가격 오락가락…다시 오를수도"

오는 4월 개발이익환수제 시행이 확실시되면서 재건축 시장이 다시 얼어붙고 있다. 재건축 시장은 지난 17일 발표된 수도권 주택시장 안정대책으로 이미 매수세가 끊기고, 매도가격 역시 주춤하고 있는 상태다. 이 같은 상황에서 개발이익환수제 마저 건교위 범안심사소위를 통과함에 따라 냉각된 분위기가 더욱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재건축 단지 매수세 뚝= 2.17 수도권 주택시장 안정대책 이후 재건축 단지의 매수세는 끊긴 상태다. 특히 개발이익환수제의 건교위 범안심사소위 통과로 이 같은 현상은 더 심해져 앞으로 가격하락 압력은 더욱 커질 것이라는 게 중개업소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강남구 개포 주공 13평형의 매매가는 연초 4억원 초반이었지만 1~2월 들어 4억8,000만~5억원 선까지 가격이 치솟았다. 15평형은 연초에 비해 1억원 가량 오른 6억3,000만~6억5,000만원까지 올랐다. 그러나 2.17 대책 이후 가격 상승세는 멈춘 상태며 매수세도 뚝 끊겼다. 반포지구는 연초 이후 호가 기준으로 3,000만~4,000만원 정도 올라 16평형은 7억원, 25평형은 9억8,000만원까지 올랐다. 그러나 17일 이후 주춤하고 있다. 강동구 고덕 1단지의 경우 가격이 1,000만원 정도 떨어지면서 13형평은 현재 2억7,000만원 대, 17평형은 3억5,000만~3억6,000만원 대에서 거래되고 있다. 고덕 주공 2단지 역시 층고(層高) 완화 조치로 인해 올랐던 매매가가 원 위치로 되돌아왔다. 16평형은 4억3,000만원 내외, 18평형은 5억3,000만~5억4,000만원 선이다. 인근 금강공인 관계자는 “4,000만~5,000만원 올랐던 가격이 다시 빠지고 있다”며 “하지만 개발이익환수제는 이미 시장에 예고됐던 악재라서 급 매물이 나오거나 문의 전화가 늘지는 않는 상태“라고 말했다. ◇정책 따라 오락가락= 이미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세는 17일을 기점으로 주춤했다. 이번 개발이익환수제가 원안대로 건교위 법안심사소위를 통과하면서 하락세에 쐐기를 박은 셈이 됐다. 개발이익환수제가 적용될 경우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서울 강남권의 경우 가구 당 5,000만~6,000만원, 수도권은 1,000만~2,5000만원 가량 부담금이 추가로 늘어나게 되기 때문이다. 강남구 개포동 김철부동산 관계자는 “층고 제한 완화, 안전진단의 지방자치단체 이관 등 완화 조치가 나올 때마다 매수자가 몰려 가격이 올랐지만 정부의 집값 안정대책이 나오면 다시 가라 앉는다“ 며 “정부 정책에 따라 재건축 가격도 오락가락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정부가 온탕- 냉탕 식으로 정책을 펼침에 따라 앞으로 집값이 다시 오를 수도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또한 재건축을 추진 중이었던 조합들도 임시국회 통과 여부를 지켜본 후 위헌 소송을 제기하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잠실 5단지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는 김우기 잠실고밀도지구연합회장은 “변호사를 선임한 만큼 관련법의 본회의 통과시 헌법소원을 제기할 방침”이라며 “임대주택을 짓겠다면 관 주도로 할 것이지 개인 소유의 땅에 끼워넣는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말했다. 고덕 1단지의 양한준 재건축조합장도 “이주를 다 마치고 사업시행 인가를 준비하고 있던 중인데 완전히 뒤통수를 맞은 기분”이라며 “손해배상 청구는 물론 위헌소송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