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부채협상 벼랑끝… 시장 "최악 준비"

재정적자 감축규모등 이견 여전… 신용강등 현실화 가능성

미국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시한이 오는 8월2일로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백악관과 의회가 벼랑 끝 협상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국제신용평가사들이 제시한 충분한 규모의 재정적자 감축방안 마련은 사실상 힘들 것으로 보여 미국의 국가신용등급 강등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존 베이너 하원의장,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 해리 리드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낸시 펠로시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 등 공화ㆍ민주 의회지도자들은 23일 밤(현지시간) 회동을 갖고 베이너 의장이 제시한 3조~4조달러 규모의 정부 재정적자 축소방안에 대해 논의했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이에 앞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미 의회지도자들을 백악관으로 불러 50분간 회동을 가졌지만 절충안을 마련하는 데 실패했다. 오바마 대통령과 민주ㆍ공화당은 금융시장의 우려를 감안해 가급적 빨리 부채증액 합의안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으나 내용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타결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공화당은 재정지출 삭감과 부채한도 증액방안에는 세금인상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민주당은 각종 세액공제의 정비와 부유층에 대한 감세철폐 등 세수증대 방안이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베이너 의장은 포괄적인 합의가 불가능하다면 디폴트를 막기 위해 임시방편으로 부채한도를 소폭 증액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는 시각인 데 반해 오바마 대통령은 미봉책으로는 금융시장의 불안을 잠재울 수 없고 재정적자의 근본적인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점을 들어 반대하고 있다. 이 같은 미 의회의 대립이 지속되자 월가 등 글로벌 금융시장은 최악의 상황을 준비하느라 비상이 걸렸다. 은행들은 이미 컨틴전시 플랜 마련에 들어갔으며 투자자들은 국채 비중을 줄이고 현금 비중을 높이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신용평가사들도 연기금 등 대형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신용등급 강등에 대한 '로드쇼'를 진행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와 관련, 미국의 신용등급이 내려가면 미국 정부뿐 아니라 소비자와 기업의 금융비용을 끌어올려 경제둔화를 가속하고 미국 채권을 보유한 중국 등의 국가들이 미국 자산에 투자중단을 고려하거나 더 높은 이자를 요구하는 등 금융시장에 거센 후폭풍이 휘몰아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