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경기침체로 韓·대만·싱가포르 가장 큰 타격"

美 침체 장기화·弱달러 심화땐…亞·太경제사회委 보고서

미국의 경기침체가 장기화하고 달러화 약세가 심화하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대미수출 감소로 한국과 대만ㆍ싱가포르 경제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엔 산하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는 27일 발표한 ‘2008년 경제사회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보고서는 “미국의 경기침체로 아태 지역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특히 한국 등 세 나라가 대미수출 감소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그 근거로 지난 2001년 미국이 0.8%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경기침체기에 한국의 주력 수출품이었던 소비재와 기계 및 장비 수출 등이 급격히 줄었던 사례가 언급됐다. 보고서는 “한국의 대미 수출품 중 40%는 전기기계ㆍ자동차ㆍ통신장비 등이 차지한다”며 “2001년 당시 이들 제품의 수입은 13%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최근 미국의 경기침체는 금융 부문의 손실에서 발생한 만큼 미국인들의 소득을 감소시키고 소비를 더욱 위축시켜 한국의 다른 수출 부문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ESCAP는 이 같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배제할 경우 대미수출 감소분이 중국경제 성장에 따른 대중수출 증가분으로 상쇄될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인 4.9%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고서는 “중국경제의 견조한 성장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수출이 증가하고 개인소비도 늘어나는 등 내수가 뒷받침되면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인플레이션과 관련해서는 “고유가에 따른 물가상승 우려가 높지만 지속적인 원화가치 절상으로 상승압력이 다소 완화될 수 있다”며 “인플레이션 우려는 낮지만 올해는 지난해보다 높은 3.1% 수준에 근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