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12월29일] 워리어


[오늘의 경제소사/12월29일] 워리어 권홍우 편집위원 1860년 12월29일 영국 템스조선소. 군함 한 척이 등장했다. 구경꾼들은 몇 번을 놀랐다. 우선 덩치가 컸다. 배수량 9,180톤. 직전까지 최대였던 머시급(5,643톤)을 간단히 뛰어넘었다. 외양은 더욱 특이했다. 갑판도 낮았고 색깔은 온통 검은색이었다. 영국전함 워리어호(HMS Warrior)의 건조 장면이다. 워리어호는 나무 선체 위에 11.4㎝ 두께의 철판을 입힌 함정. 최초의 철갑선으로 간주된다. 돛대와 증기기관을 동시에 사용, 당시로서는 경이적인 시속 17.5노트를 냈다. 프랑스의 '글루와르(1859)'가 최초라는 논란도 있지만 워리어호를 철갑선의 효시로 꼽는 것은 종합적인 능력과 이후 군함 제작에 미친 영향 때문이다. 영국은 워리어 건조까지 곡절을 겪었다. 강철판은 나침반을 혼란시켜 큰 바다에서 길을 잃기 쉬운데다 저온에서는 곧잘 부서진다는 결점을 안고 있어 철제군함 무용론이 득세한 것. 완고하던 영국은 항해술과 제련기술 발달로 문제점이 사라지고 프랑스가 목제선박을 쉽게 부술 수 있는 신형 작렬탄(이전 포탄은 폭발이 없는 단순한 쇠공)을 선보이자 워리어 건조를 앞당겼다. 문제는 비용. 워리어호 건조에 목제선박의 3배가량인 39만파운드가 들었다. 기술도 기술이지만 영국과 프랑스를 제외한 국가들이 워리어호의 장점을 보고도 바로 뒤따르지 못한 까닭은 재정 뒷받침이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철제함 건조경쟁은 독일과 미국의 경제가 급성장한 19세기 후반부터다. 돈과 기술이 해상력을 좌우하는 구도는 요즘도 마찬가지다. 한국은 어디쯤 있을까. 거북선이나 워리어호에 비견할 원천기술은 거의 없는 상태다. 뒤늦게 경쟁에 끼어들고도 조선산업 규모면에서 세계 1위라는 점이 그나마 다행이다. 입력시간 : 2006/12/28 17:2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