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자원민족주의 노골화 한다

中희토류 거점 바오터우 가 보니…<br>"보안산업" 정부 통제 강화<br>해외합작등 철저히 차단 접근도 불허 '竹의 장막'<br>진출기업들 압력 못이겨 사업권 자진반납 하기도



SetSectionName(); 中 자원민족주의 노골화 한다 中희토류 거점 바오터우 가 보니…"보안산업" 정부 통제 강화해외합작등 철저히 차단… 접근도 불허 '竹의 장막'진출기업들 압력 못이겨 사업권 자진반납 하기도 바오터우(네이멍구자치구)=이병관특파원 yhlee@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체감온도 영하 30도의 칼바람이 몰아친 지난 23일 중국 최대의 희토광산ㆍ공업도시인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의 바오터우(包頭). 바오터우시를 지나다 보면 '희토고신구(稀土高新區)'라는 입간판이 자주 눈에 띈다. 우리말로는 희토하이테크산업단지쯤 된다. 이 입간판에서는 선진국이 환경오염을 야기한다며 손을 뗀 사이 희토류를 최첨단 산업으로 육성해온 중국의 정책의지가 느껴진다. 희토고신구는 중국 전역의 54개 국가지정 하이테크단지 중 유일하게 '희토'라는 전문명칭을 가진 곳. 중국이 '산업의 비타민'인 희토류를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는 데 얼마나 공을 들이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는 현장이다. 하지만 바오터우 소재 희토류 기업은 살을 에는 혹한의 날씨만큼이나 고통스럽고 착잡한 심정이다. 현지 기업이나 해외 합작기업 가릴 것 없이 중앙정부의 희토류 산업 통폐합 추진으로 언제 문을 닫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여 있기 때문이다. 구조조정은 표면상 난립한 부실기업 정리를 겨냥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국가전략산업에 대한 정부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특히 외국 기업이 중국 업체와 제휴ㆍ합작하는 것을 철저히 차단하겠다는 복안이 깔려 있다. 중국 정부는 올 들어 희토류 관련 인허가 업무를 기초단체인 시(市) 단위에서 광역단체인 성(省) 단위로 격상시켰으나 실제로는 정부 차원에서 관리ㆍ통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지에서 만난 바오터우 희토고신구의 한 업체 관계자는 "지금 희토류 업체들은 중앙정부의 살생부에 오를까 봐 노심초사하고 있다"며 "국영기업 중심의 통폐합 작업과 함께 자원민족주의 열풍이 불면서 외자기업과의 합작 등은 엄두도 못 낸다"고 호소했다. 중국과 일본 간 센카구열도 분쟁은 중국의 자원무기화 바람에 불을 댕겼다. 9월5일 중국 어선이 일본 순시선에 나포되면서 반일감정이 격화하자 일본의 한 기업은 중국과의 합작승인이 돌연 취소됐다. 일본 기업은 후난성 이양(益陽)시에 4,500만 위안(78억원)을 투자, 희토류 가공업체인 '익양신재료희토유한공사' 설립승인을 받았지만 이 사실이 현지 언론에 보도되면서 하루아침에 합작인가는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중국 언론과 네티즌이 해당 중국 기업을 '마이궈쩨이(賣國賊ㆍ매국노)'로 묘사하며 자원민족주의를 자극하자 합작 당사자들이 9월22일 사업권을 자진 반납한 것. 한국 기업까지 유탄을 맞았다. 바오터우에 진출한 한국 기업 한 곳도 지방정부로부터 희토류를 뽑아낼 수 있는 공장 설립에 대한 승인을 이미 받았지만 중앙정부의 압력에 밀려 최근 사업권을 반납했다. 이곳에 진출한 일본 기업들은 언제 현지 합작 파트너가 손을 뺄지 몰라 전전긍긍하는 분위기다. 중국 희토류 산업은 '죽(竹)의 장막'이다. 바오터우 현지 공무원들은 외국 기자와의 접촉을 일절 삼가고 있으며 광산 현장은 물론 민간 공장 접근조차 철저히 차단하고 있다. 특구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차오(曹) 사장은 "희토류는 국가보안산업으로 중앙정부 차원에서 직접 통제하고 있다"며 "바오터우시와 희토고신구 소속 공무원들이 몸을 사리고 있다"고 귀띔했다. ㆍ中 자원민족주의 노골화 한다 ㆍ 채굴서 가공까지 정부가 쥐락펴락 ㆍ전세계 매장량 62% 보유… 바오터우시는 ㆍ "첨단기술 갖고와 中과 상생하라" ㆍ수출 쿼터 좌지우지… 국영기업 막강 파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