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LH에 낙하산 감사 안 된다

지난 6월 감사의 '뇌물수수' 혐의로 한바탕 홍역을 치렀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감사를 새로 뽑는다. 오는 10일까지 공모와 추천을 병행해 임기 2년의 상임감사위원을 뽑을 계획이다. LH 감사는 이지송 사장과 함께 8명의 상임 이사직에 포함돼 있는 고위급 자리다. 전국에서 개발 사업을 하고 토지 보상금을 나눠주는 LH같은 토지ㆍ주택 공기업에서 '비리 척결'과 '내부 단속'이라는 막중한 책임을 가졌다. LH는 전임 감사가 불미스러운 일로 물러난 만큼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임원추천위원회를 설치하고 어느 때보다 투명한 과정을 통해 감사를 뽑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외부에서 이 같은 과정을 지켜보는 시선은 여전히 불안한 것이 사실이다. 국토해양부 산하 공기업과 기관 인사, 특히 그중에서도 언론 집중을 덜 받는 감사 자리는 청와대 낙하산의 대표적인 '텃밭'이었기 때문이다. 실제 뇌물 수수 혐의로 구속된 전임 방판칠 LH 초대 감사는 예비역 중장 출신으로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외곽조직인 선진국민연대 상임감사였다. 이에 앞서 참여정부 시절 정치인 신모씨도 토지주택공사의 전신인 대한주택공사 감사를 맡았다. 그는 당시 집권당인 열린우리당 당적으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다 떨어진 인사다. 국토부 산하 최고 '알짜' 기관 중 하나로 꼽히는 건설공제조합의 경우 무려 3차례 연속 업무와는 관련성이 없는 청와대 경호처 출신이 감사직을 넘겨 받고 있다. 공기업 감사 자리가 이처럼 정권의 논공행상 자리로 전락한 것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그렇더라도 이번에 LH에서 같은 일이 되풀이 돼서는 안 된다. 2009년 통합 이후 스스로 '뼈를 깎는'고통이라 할 만큼 내부 조직과 외부 사업들을 동시 구조 조정해온 LH는 MB정부 공기업 선진화의 상징과도 같은 기업이다. 또 다시 낙하산 인사로 물의를 빚거나 비리 사건이 터진다면 LH가 통합 이후 지금까지 쌓아온 노력이 물거품 되고 보금자리주택 사업이나 개발 사업들은 지금보다 더 큰 반발에 휩싸일 수 있다. 이럴 때일수록 외부 입김에 휘둘리지 않고 내부 단속을 철저히 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 정권 말에 자리 하나 더 챙겨준다는 식의 인사를 이 정권이 더 이상 되풀이 하지 않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