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MB 퇴임후 사저 부지 내곡동 땅 788평 장남·대통령실 공동명의로 사 논란

"대통령·金여사 명의 매입땐 위치노출, 건립추진 힘들어"<br>靑, 증여 의혹 차단 나서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후 거처할 사저 부지를 장남인 시형씨와 대통령실이 공동명의로 매입한 일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대통령실(경호처)이 대통령 자녀와 함께 사저 부지를 사들인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청와대의 한 고위 관계자는 9일 "이 대통령은 퇴임 후 서울 강남구 논현동 자택으로 돌아가지 않고 서초구 내곡동에 새로 사저 부지를 매입, 건축해 퇴임 후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퇴임 후 논현동 자택으로 갈 목적으로 경호시설 건립을 위해 부지 구입을 추진했으나 경호 문제 등으로 지난 5월 초 대체부지로 내곡동 부지를 선정했다"고 덧붙였다. 올 5월 계약 후 6월 매입한 것으로 알려진 '내곡동 사저'의 총 규모는 2,600㎡(약 788평)이다. 이 가운데 이 대통령 내외가 거주할 사저용 부지 462㎡(약 140평), 경호관들이 활용할 경호시설용 부지 2,138㎡(약 648평)로 구성돼 있다. 내곡동 사저 부지 구입비용으로는 지금까지 모두 11억2,000만원이 들어갔다. 이 중 6억원은 이 대통령의 논현동 자택을 담보로 시형씨가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 받은 것이고 나머지 5억2,000만원은 이 대통령의 친척들에게서 빌렸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사저 옆 경호시설 건립부지 비용은 모두 42억8,000만원이다. 이는 지난해 경호시설 구입비용으로 배정한 예산 40억원과 예비비 재원으로 충당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의 퇴임 후 사저를 논현동에서 내곡동으로 옮긴 이유를 청와대는 "논현동 사저 주변 땅값이 평당 3,500만원가량으로 경호시설 부지 매입예산 40억원으로는 턱없이 부족한데다 주변 필지가 대부분 200∼300평으로 묶여 있어 어렵다"며 "게다가 3층 이상 건물들이 많아 경호상의 어려움도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왜 내곡동 사저 부지를 굳이 장남인 시형씨 명의로 대출을 받아 매입했냐는 점. 자칫 증여를 위한 사전 준비라는 의혹을 살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내곡동 부지는 개발이 예정된 땅이고 경부 고속도로와 용서(용인~서판교) 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서울 강남 일대에서 마지막 남은 개발부지로 알려져 왔다. 청와대는 "사저 부지를 이 대통령이나 김윤옥 여사가 사들일 경우 위치가 노출돼 사저 건립 추진에 어려움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면서 "또 대통령이 매입 당사자로 알려지면 호가가 2∼3배 높아져 부지구입에 어려움이 있었던 전례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당초 논현동 사저의 경호시설 확보를 위해 국회에서 4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지만 실제 집행이 내곡동에서 이뤄진 만큼 예산 집행에 따른 국회의 문제제기도 따를 것으로 보인다. 10일 예정된 국회운영위원회 국감에서 문제제기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 등 네 명의 전직 대통령들은 모두 퇴임 후 본래의 자택으로 돌아갔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은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 사저를 마련했다. 이 대통령의 사저에 들어간 예산은 노 전 대통령의 15배를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 전 대통령의 사저 경호시설 부지 매입비는 2억5,900만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상도동 자택' 경호시설 부지 매입비는 9억5,000만원,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경호시설 부지 매입비가 7억8,000만원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