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中企 부정적 표현 교과서 손질

'폐수 무단방류' '하루 수십개 망해' 등 잘못된 인식 심을 우려

'중소기업 경영자 A씨는 열심히 물건을 만들어 대기업에 납품했다. 하지만 물품대금을 제때 받지 못했다. A씨의 기업은 항상 자금 사정이 어려웠다.'(C출판사 중학교 3학년 사회 교과서) 일부 중학교 사회과목의 검정교과서에 실린 중소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이 수정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학생들에게 중소기업에 대한 부정적 기업관을 심고 있는 것으로 지적된 검정교과서 2종, 인정도서 1종의 내용을 전면 수정ㆍ보완하기로 하고 저작자ㆍ출판사와 협의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 문제가 된 교과서들에는 '작은 염색업체가 폐수정화시설을 설치했지만 경제적 부담이 너무 커 폐수를 무단 방류했고 인근 논에서 벼가 말라죽었다'는 내용,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납품하고도 대금을 제때 받지 못해 항상 자금사정이 어렵다'는 묘사가 나온다. 서울시교육청 산하 일부 학교에서 채택된 '경제와 사회' 인정도서에도 '대기업은 문어발식 경영으로 외형 성장에만 집착하는 반면 중소기업은 하루에도 수십개씩 망한다'고 기술돼 있다. 내용의 목적이 중소기업의 어려운 현실을 적나라하게 알리려는 데 있지만 자칫 '중소기업은 매달 수십개씩 문을 닫아도 대수롭지 않은 조직'이라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정부도 이 같은 방식의 교육이 긍정적인 효과보다 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훨씬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5월6일 청와대에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 받고 "교과서를 개정하는 일이 쉽지 않겠지만 중소기업에 대해 이런 식의 표현이 있다면 고쳐야 한다"고 지시하기도 했다. 교과부의 한 관계자는 "전체 맥락을 보면 중소기업의 열악한 상황을 묘사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학생들에게 중소기업의 부정적 이미지를 심어줄 우려가 있다"며 "저작자ㆍ출판사도 문제가 된 대목을 긍정적으로 바꿔 기술하는 데 동의한 만큼 최대한 빨리 수정ㆍ보완 작업을 마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교과부는 중소기업에 대한 묘사뿐 아니라 대기업에 대한 일부 부정적인 표현도 전반적으로 수정할 방침이다. 교과부는 교과서 상시 수정ㆍ보완제도를 시행하고 있어 매월 20일까지 교과서 상의 오류를 수정ㆍ보완하고 있다. 이에 중소기업 관련 내용도 오는 7월 말까지는 수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