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근혜, 소통 구조 바꿔야"

정수장학회 논란 朴책임론 번져

새누리당 내에서 정수장학회 논란에 대한 박근혜 대선 후보의 책임론이 번지고 있다. 박 후보가 과거사와 가족 문제만 나오면 유독 불통하고 비판 받는 일이 반복되면서 소통구조를 바꿀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정치쇄신특위의 이상돈 위원은 23일 TBS 라디오에 출연해 "지금이라도 의사결정 구조를 바꿔야 한다"며 "문제라는 것을 많은 의원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당ㆍ선거대책위원회 공식기구와 소통 내지 많은 토론을 해야만 일단 대선까지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구조로 곧 바뀌지 않으면 어렵지 않겠느냐는 걱정을 한다"고도 말했다.

쇄신파인 김성태 의원은 "역사인식에 대해서는 박 후보 개인이 아닌 당 후보의 입장을 가지도록 참모진이 제대로 보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 측 인사들은 대체로 세 가지 이유를 들어 해명했다.

관련기사



과거사를 비롯한 가족의 일은 당사자인 후보가 가장 잘 알고 있다는 인식이 강하다는 점이다. 특히 지난 1979년 이후 박정희 정부와 박 후보 본인을 향해 왜곡된 비판이 쏟아졌다는 생각이 강하다고 한다.

친박계의 한 핵심관계자는 "자기 가족의 일을 같은 당이라고 해서 국회의원에게 일일이 물어봐야 하는가"라면서 "대선주자로 오랫동안 있다 보니 서로 다른 조언이 엄청나게 쏟아지기 때문에 후보로서도 중심을 잡을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안을 강조하는 후보의 습관도 쉽게 바꿀 수 없다는 분석이 많다. 박 후보는 비공개 일정이 알려지는 것조차 극도로 꺼려할 만큼 보안을 중시한다. 특히 인사나 기자회견의 경우는 유출을 우려해 핵심참모도 내용을 완전히 모르게 논의하는 편이다.

다만 앞으로 박 후보가 대선 후보로서 의사결정 전에 당과 소통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지적이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캠프의 김부겸 선대위원장은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박 후보가 강력한 자신의 세계를 구축해 누가 건의를 하거나 수정하는 게 불가능한 것 아니냐"며 "박정희 전 대통령의 가치나 세계서 한발 더 나와야 국민이 미래에 기대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