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영업정지 때마다 사전 정보 유출통해 큰손들 불법 인출

"영업정지 정보는 모든 직원들이 다 알고 있었다." 과거 2금융권의 한 회사에 근무하다 영업정지 후 퇴사한 A씨가 부산저축은행 사태를 접한 후 기자에게 전한 말이다. 금융기관에 대한 영업정지 정보는 예금자 피해가 막대하고 금융질서에 혼란이 올 수 있어 극도의 기밀사항. 하지만 A씨의 증언에 따르면 특급 보안이 요구되는 영업정지 정보가 줄줄 새고 있었다는 말이 된다. 그의 증언대로라면 정보 유출에 따른 사전 불법인출은 이번 부산저축은행뿐만 아니라 과거에도 영업정지 때마다 발생했었다는 의미다. A씨는 "첫 발설자가 누군지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경영진 쪽에서 흘리지 않았겠느냐. 이후 영업정지 정보가 직원들 사이에 퍼진 것은 순식간"이라며 "직원들은 자기가 담당하는 기업 및 개인고객들 중 '큰손'들에게 미리 영업정지 정보를 알려주고 돈을 인출해갈 것을 권유하느라 하루 종일 전화기에 매달려 있었다"고 당시 분위기를 전했다. 금융기관 직원들 사이에 '집단 모럴해저드'가 발생하는 순간 이를 차단하고 견제할 수 있는 장치는 전혀 작동되지 않았던 것이다. A씨는 당시 이 같은 일이 벌어졌던 이유에 대해 "영업이 재개됐을 때 고객들을 다시 유치하기 위해서"라며 "자기 돈을 떼일 수 있는 것을 미리 알려줘 조치를 취해주면 해당 고객은 그 직원을 믿게 돼 다음에도 다시 돈을 맡긴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