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금융권 구조조정 난기류…PCA, 대투증권 인수 포기

'사후손실 보전' 이견 예견된 결렬…한투와 달리 후순위채로 '감춰진 부실' 많아<br>"PCA 목적은 인수 아닌 시장정보 얻기"…예비대상 하나銀 "제시조건 수용해야 참여"

정부와 PCA컨소시엄간의 매각협상이 결렬되면서 정상화의 길로 접어드는 것처럼 보였던 대한투자증권의 미래가 다시 안개 속으로 빠져들었다. 협상결렬의 이유에 대해서는 정부나 PCA측이나 모두 함구로 일관하고 있지만 시장 관계자들은 인수가격과 부실자산에 대한 평가문제를 둘러싸고 양측의 이견이 컸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정부가 5,000억원 가량의 인수가격을 제시한 반면 PCA측은 사후손실을 감안해 훨씬 낮은 가격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수가ㆍ사후 손실보전 입장차 큰 듯=자산운용업계에서는 이번 협상결렬에 대해 어느 정도 예상한 결과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대투의 경우 보이지 않는 손실 부분이 많기 때문에 협상과정에서 이 부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놓고 의견차를 좁히기 힘들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부에서 양 투신사에 투입한 공적자금 규모는 모두 7조7,000억원 수준. 이중 대투증권에 들어간 자금은 한투(4조9,000억원)보다 2조1,000억원이 적은 2조8,000억원에 불과하다. 반면 업계에서 추산하는 양사의 부실액은 거의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투는 공적자금을 통해 회사를 완전히 클린컴퍼니로 전환시켜간 반면 대투는 남은 부실자산을 후순위채(CBO) 발행을 통해 해결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매각협상 결렬에는 CBO로 감춰진 부실부담이 컸던 것으로 증권가에서는 분석하고 있다. 자산운용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투의 경우 투입된 공적자금 규모가 적어 부실을 완전히 털지 못하고 CBO 발행을 통해 해결하려고 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PCA측에서 이에 대한 부담을 인수가격 또는 사후 손실보전의 형태로 반영하려고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PCA에서 잠재부실 가능성을 들어 인수가격을 깎으려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PCA 인수의사 있었나 의구심도=업계 일부에서는 PCA가 정말 대투 인수의사를 가지고 있었는가에 대해 의구심을 표명하기도 한다. 예비실사 과정에서 CBO를 비롯한 대부분의 부실액을 파악하고 있었고 평가기준까지 마련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인수를 포기한 것은 ‘인수’가 목적이 아니라 ‘실사’가 목적이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PCA의 목적이 대투를 실사하면서 드러난 국내 자산운용시장의 전략 및 문제점 등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는 것.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PCA에서 잠재부실을 몰랐다는 것은 말이 안되고 실제로 대투 인수에 큰 관심을 보인 것 같지도 않다”며 “투신시장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참여했을 가능성도 높다”고 추정했다. 여기에 대투 노조의 반발 역시 협상결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즉 노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조조정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이를 감당할 만한 여유가 없었다는 분석이다. ◇공은 하나은행에로=협상결렬 이후 정부는 예비협상대상자였던 하나은행 컨소시엄과 이른 시간 내에 협상에 착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김교식 공적자금위원회 사무국장은 “가능한 한 10월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혀 하나은행과의 협상을 이른 시간 내에 매듭지을 것을 강조했다. 하지만 하나은행 컨소시엄은 급할 게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에서 더이상의 대안을 가지지 못한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김승유 하나은행장은 “대투 인수에 참여할 의사는 있지만 원래 제시한 조건들을 정부가 수용해야 참여할 수 있다”며 조건부 참여의사를 밝혔다. 김 행장의 이러한 언급은 사후 손실보전과 같은 내용이 구체적으로 포함돼야 매각협상을 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앞으로 정부에서 사후 손실보전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가 대투 매각협상을 좌우하는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