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소 조선업계 표정

"부실등급 분류되면 어쩌나" 긴장<br>대주단 방안도 "신뢰 추락 우려" 신중

중소 조선업계 표정 "부실등급 분류되면 어쩌나" 긴장대주단 방안도 "신뢰 추락 우려" 신중 김민형 기자 kmh204@sed.co.kr "글쎄요. 일단은 분위기를 봐야 하지 않겠습니까."(A중소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 중소 조선업계는 정부와 은행권이 구조조정에 나서자 잔뜩 긴장하는 눈치다.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인 '패스트트랙'을 통해 지원대상으로 분류될 경우는 자금 경영에 숨통이 트이게 되지만 부실 등급으로 분류될 경우 사형선고나 다름없게 되기 때문이다. 조선업계는 또 은행권이 패스트트랙의 대안으로 생각하고 있는 대주단 협약에 대해서는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다. 중소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은행권이 패스트트랙을 통해 조선업체를 4개 등급으로 나누게 되는데 하위 2개 등급으로 분류될 경우 사실상 퇴출 절차를 밟을 수밖에 없어 사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은행권의 자금줄 조이기가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실등급으로 판명되면 은행으로부터 선수금에 대한 환급보증서(RG)를 발급받을 수 없게 되는 등 자금줄이 사실상 차단된다. 또 다른 한 관계자는 "패스트트랙을 통해 지원대상으로 분류되더라도 유동성에 위기가 있다는 것이 대내외에 드러나게 된다"며 "정부와 금융권이 비밀보장을 보다 확실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 조선업체들은 차선책으로 거론되고 있는 대주단에 대해서도 신중한 반응이다. 대주단에 가입하면 자금난에 숨통이 트일 수는 있지만 선주사들이나 협력업체들로부터 신뢰를 잃게 될 경우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중소 조선업체의 한 관계자는 "조선업종은 건설업종과 달리 수주산업이기 때문에 일단 자금위기를 넘기고 배를 제대로 만들어내면 선주 및 협력업체들과의 신뢰관계는 유지될 수도 있다"며 "일단 살고 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또 다른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신뢰를 잃을 수 있다"며 "정부 방침을 지켜본 뒤 결정하겠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중소 조선업계는 대주단을 구성할 경우 중소 조선업체만을 대상으로 하지 말고 대형 조선업체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형 조선업계로 가입폭이 확대된다면 중소형 업체들의 자금난 노출이 상대적으로 희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건설업계와 달리 수주산업인 조선업계의 특성상 대주단에 들어간다고 해서 갑자기 발주가 취소되거나 신뢰가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중소형 조선 업체들만 가입하는 것보다는 대형 업체들도 함께 가입하는 것이 모양새가 더 좋다"고 지적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