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내경제] 11일 금융통화위 금리 결정 주목

미국발 쇼크로 세계 금융시장이 출렁거리면서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도 관심이 몰리고 있다. 정부가 경제정책의 초점을 기존처럼 물가 관리에 맞출 것이냐 아니면 대외경제 악재 대응에 맞출 것이냐를 놓고 기조 변화를 보일 지가 관건이다. 특히 오는 11일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상될 지, 다시 한번 동결될 지 여부가 최고의 핫이슈다. 이에 앞서 9일과 10일 열리는 대외경제장관회의와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선 요동치는 세계경제 리스크에 대한 정부의 상황인식 공유와 향후 대응방향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이는 7일 기획재정부가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과 함께 연 차관급 ‘경제금융상황 점검회의’ 내용을 바탕으로 주요 부처들이 정책기조를 조율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10일에는 7월 고용동향이 발표된다. 올해 들어 지속적인 회복세를 보였던 고용 지표가 하반기에도 이어지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다. 8일에는 2ㆍ4분기 지역경제동향 자료가 나온다. 이에 앞서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7일 ‘서울시 가계의 소비구조 분석’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고용 지표와 지역경제동향, 가계소비 구조는 모두 내수활성화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주요 변수여서 이를 바탕으로 정부 및 통화금융당국이 재정, 금리 정책 등을 어떻게 운용할 지 가늠해 볼 수 있다. 금주에는 정부의 양도세소득세 개편에 대한 윤곽도 드러날 전망이다. 한국조세연구원이 주최하는 ‘양도소득세 개편방향에 관한 정책토론회’가 10일 열리기 때문이다. 이번 토론회는 정부가 이달말 발표할 예정인 세제개편안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부동산 양도소득세 중과제도 개편 방향을 주제로 담고 있다. 11일에는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리는 국민경제대책회의가 예정돼 있다. 12일에는 제 3차 물가관계 장관회의가 열린다. 이에 앞서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가 지난 5일 5.76%(6.18달러)나 급락하면서 국내 석유관련 제품들의 가격하락도 이어질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어 정부의 물가관리에는 다소나마 호재가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