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해5도 3개항 국가관리 '특정항'으로

연평·대청도항 등 최대 5,000t급 대형 선박 접안시설 설치… 관련법 개정 추진

인천시 옹진군 백령도의 용기포항 등 서해5도서 연안항 3곳이 5,000t급 대형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특정항'으로 지정돼 특별 관리될 전망이다. 인천시는 백령도(용기포항), 대청도(대청도항), 연평도(연평도항) 등 서해5도서의 연안항 3곳을 정부가 관리하는 '특정항'으로 지정 운영하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항만법상 무역항은 국가가, 연안항은 정부가 시ㆍ도지사에게 위임해 관리하고 있으며 접경지역과 최전방지역은 '특정항'으로 구분해 관리하도록 법개정이 추진 중이다. 용기포항과 연평도항은 지난 2009년까지 국가관리항으로 운영돼 오다 2010년1월부터 연안항으로 지정돼 지방자치단체가 관리ㆍ운영하고 있으며 대청도항은 국가어항으로 농림수산식품부가 관리해오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들 섬들은 북한의 도발이 발생하고 중국 어선이 자주 침범하는 등 국가 차원의 관리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며 "정부도 지난해 3월 천안함 폭침사건과 11월 연평도 포격사건으로 국가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돼 '특정항'으로 지정하기로 하고 법개정을 서두르고 있다"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들 연안항 3곳을 '특정항'으로 지정, 최대 5,000t급 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어 해군 경비정 등 함정이 언제든지 정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들 항만에는 1,000t급 이하의 중소형 선박만 정박할 수 있을 뿐 해군이나 해경 경비함정 계류시설이 없고 기존 시설도 열악해 유사시 함정이 직접 정박할 수 없다. 인천시는 용기포항과 연평항, 대청항이 '특정항'으로 지정되면 우발적인 상황이 발생할 때 대규모 후송 뿐 아니라 함정정박 등의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대형 여객선 운항으로 지역 개발은 물론 이들 섬의 주민편익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