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스미소니언 미국사박물관 9월 개·보수 위해 폐쇄

약 2년 휴관 예정

미국 워싱턴 중심부에 위치한 스미소니언국립 미국사 박물관이 개ㆍ보수 작업을 위해 오는 9월부터 약 2년 정도 휴관한다고스미소니언 재단측이 18일 밝혔다. 지난 1964년 1월 국립역사기술박물관이라는 이름으로 개관한 후 1980년 전시물확대와 함께 미국사 박물관으로 개칭한 이 박물관은 매년 1천500만명의 관광객들이찾는 워싱턴 내셔널 몰에 위치한 워싱턴 명소 가운데 하나다. 스미소니언 산하 16개의 박물관 중 항공우주박물관과 자연사박물관 등과 함께가장 인기가 높은 이 박물관은 현재 30여개의 상설 전시와 특별 전시, 각종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연간 400만명의 관람객이 찾고 있다. 이 박물관은 '미국의 다락방'(the nation's attic)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을 정도로 미국의 역사를 한눈에 알 수 있는 상징성있는 물품 300만점이 전시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연면적 1만8천600㎡에 달하는 이 박물관에는 조지 워싱턴 전 대통령의 칼과 링컨 대통령의 모자, 영화 '오즈의 마법사'에서 주인공 도로시가 신었던 빨간 슬리퍼, 무하마드 알리의 권투 장갑, 듀크 엘링턴의 자필 악보 등 눈길을 끄는 소장품들이 많다. 아울러 발명왕 에디슨의 전구, 벨의 전화기, 모스의 전신기, 증기기관차, 20세기초 자동차 대중화를 불러온 포드자동차 T-모델 등도 전시관을 채우고 있다. 그러나 40여년이 지난 이 박물관은 개관 이후부터 지금까지 건축물 설계 자체에 문제가 적지 않은 것으로 지적돼왔다. 특히 시대에 뒤떨어진 건축양식과 어둡고 답답한 내부 장식 및 공간설계, 전시실간 흐름이 매끄럽게 설계돼 있지 않은데다 2개의 입구가 층이 달라 관람객들에게혼란을 주는 점 등이 큰 문제로 지적됐다. 이 때문에 "방문객들의 편의가 아니라 박물관 관리인들을 위한 설계"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때문에 미국사 박물관의 개보수 작업 필요성에 이의를 제기하는 견해는 거의 없다고 미 언론들은 이날 평가했다. 다만 미국사 박물관 개보수 작업에는 이 박물관의 상징인 대형 성조기를 위한새 전시실 마련을 비롯, 노후한 전기설비와 수도관, 비상경보기 보수 등 기반시설 보수에만 최소한 5천만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