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확실한 지배주주 찾아주고 이사회는 견제기능 갖춰야

■ KT발 CEO리스크 해법은… 전문가 진단<br>단기적으론 사태 수습·조직 장악 리더십 필요<br>'시장의 경고' M&A 위협도 경영견제 순기능<br>내부 경쟁체제 구축 리더 검증 시스템 만들어야


이석채 KT 회장의 사의 표명으로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되풀이되는 최고경영자(CEO) 리스크가 다시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특히 KT, 포스코 등 정부 지분이 없는 민간기업에 정부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은 기업의 경쟁력 확보와 임기제 취지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 세 사람에게 반복되는 CEO 리스크의 원인과 해법을 들어봤다.

전문가들은 KT발 CEO리스크의 원인으로 민영기업 KT가 여전히 과거 공기업 한국통신이라는 이미지에 매여 있고, 지배주주가 없는 경영구조를 첫손에 꼽았다. 또 이사회가 CEO를 견제하지 못하고 적자생존의 냉혹한 시장경쟁의 틀에서 한 걸음 비켜나 있는 것도 원인 중 하나로 봤다. 때문에 정권의 입맛에 따라 낙하산 인사와 낙마가 반복되는 CEO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해 ▦기업 지배구조 개편 ▦전문 경영인 도입 ▦견제 중심의 이사회 역할 제고 ▦체계적 내부 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 등을 해법으로 들었다.


김동욱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은 이들 기업의 지배구조가 CEO리스크 촉발 원인인 동시에 해법이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일반적인 기업은 대부분 지배주주라 할 수 있는 주인이 있는데 KT와 포스코는 확실한 경영권을 가진 지배주주가 없기 때문에 CEO리스크가 되풀이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정권 차원의 입김이 작용한 측면이 있고, 거기에 구성원 스스로가 네거티브 제보로 조직을 흔든 측면도 있다는 게 김 원장의 분석이다. 해법으로 김 원장은 장기적으로는 확실한 지배주주가 나타나는 방향으로 유도하고, 단기적으로는 사태를 수습하고 조직을 장악하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봤다. 김 원장은 "수습 절차가 지지부진하게 늘어지면 안된다"고 못박은 뒤 "장기적으로 지배주주가 있어야 하지만 당장의 해법은 아니다. 지금은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전문성을 갖고 조직 관리 경험이 풍부한 이가 후임자로 발탁돼 안팎에서 불거진 갈등을 나서서 봉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후임 CEO역할에 대해 그는 "일반기업과 다른 KT의 특성을 빨리 파악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KT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서윤석 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이사회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이 가장 크다고 진단했다. 서 교수는 "이사회가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며 "거수기가 아니라 CEO의 경영활동을 실질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이사회가 구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서 교수는 지난 정부가 적대적 인수합병(M&A) 견제를 위해 여러 법적 장치를 만든 것 역시 CEO리스크의 원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서 교수는 "일반 기업 CEO들은 경영을 제대로 못하면 언제든 자본시장의 M&A 타깃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실제로 시장에서도 종종 먹이감이 된다"며 "주주 입장에서는 M&A를 반드시 나쁘다고 할 수 없다. 그만큼 정신차리고 경영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만약 이사회가 작동하지 않고 자본시장의 위협도 없는 상황이 이어지면 결국 정부 스스로 우리가 나설 수 밖에 없다고 판단하게 된다"고 했다. 이사회의 견제와 시장의 경고가 유기적으로 시너지 효과를 내는 조직의 회사가 돼야 CEO리스크를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CEO의 조건 대해 서 교수는 "사외이사들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어야 하며, 자신을 향한 비판을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의사를 보일 수 있는 이여야 한다"고 말했다.

황인학 한국경제연구원 기업정책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차세대 리더를 육성하는 기업 시스템이 중요하다고 꼽았다. 황 연구위원은 "CEO리스크는 결국 정부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시장에 대한 정부의 통제가 계속되는 느낌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대안으로 "전문 경영인 체제로 가져가면서 잠재적인 차세대 리더들을 수년간 경쟁시키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며 "이들이 수년간 검증과정을 거치고 자리에 오르면 그만큼 리스크는 줄 수 밖에 없다"고 봤다. 다양한 분야의 수많은 임원들을 인재풀로 묶어 내부에서 서로 경쟁을 통해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만들 수 있는 시스템이 자리 잡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