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황사방지 마스크 한 번 쓰고 버려야"

식약청, 황사발생시 대처요령 발표

황사방지용 마스크는 한번 쓰고 버려야 하며 황사발생시 콘택트렌즈 착용시간은 8시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올 황사시즌을 앞둔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이 같은 내용의 봄철 황사 대비 요령을 발표했다. 식약청에 따르면 황사방지용 마스크를 구입시에는 ‘식약청 허가 의약외품’ 표시를 확인해야 한다. 식약청 허가를 받은 황사방지용 마스크는 미세한 입자를 포집하는 비율, 공기가 새는 누설률, 마스크 착용 시 내부 저항 등 성능시험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성능이 보장된다. 황사방지용 마스크는 1회용이라 빨아서 다시 사용하면 안된다. 특히 여성들은 화장 얼룩 때문에 수건이나 휴지로 호흡기를 감싼 뒤 황사방지용 마스크를 착용하기도 하는데, 이럴 경우 마스크가 들뜨기 때문에 황사 입자가 마스크 내부로 들어올 수 있어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황사 때는 눈이 쉽게 건조해져 충혈, 가려움증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콘택트렌즈 착용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으나 부득이 렌즈를 써야 한다면 8시간 이내로 짧게 착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황사로 눈이 가렵고 끈끈한 분비물이 나오는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초기 증상이 의심되면 약국에서 항히스타민제, 충혈제거제 등을 함유한 점안제를 구입해 사용하면 된다. 이때 안약 용기의 끝부분이 눈꺼풀과 속눈썹에 닿으면 약액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결막과 각막 손상으로 2차 염증이 생기거나 세균에 감염됐다면 항균점안제와 같은 의약품 처방이 필요하기 때문에 병원을 찾아야 한다. 황사시 재채기, 콧물, 코막힘 증상이 심할 때에는 혈관수축제가 포함된 점비제(코에 뿌리는 약)를 사용할 수 있다. 점비제중 한두방울씩 떨어뜨리는 점적형은 고개를 뒤로 젖히고 투여하며 약물이 코안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2~3분간 같은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