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메리츠종금증권 전망 "헤지펀드 시장 20조원 규모 성장할 것"


메리츠증권 분석 이르면 내달말 출범이 확실시 되고 있는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이 초기에는 5조원 정도를 형성하겠지만 3년 뒤에는 2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메리츠종금증권은 19일 상위 1% 고액자산가의 금융자산 중 5%가 헤지펀드 시장으로 유입될 경우 도입 초기 헤지펀드 시장 규모는 4조9,000억원 정도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사한 상품 성격을 지닌 자문형랩의 초기 월평균 성장률 4.1%를 적용할 경우 2년 뒤에는 12조원, 3년 뒤에는 약 2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산했다. 박선호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초기 헤지펀드 시장은 미국과 유사하게 고액 자산가 비중이 60%대로 높게 형성될 것”이라며 “상위 1% 자산가의 금융자산(59조2,000억원) 가운데 5%만 유입된다고 가정하면 개인자금 규모는 3조원, 기관 자금은 1조9,000억원이 유입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연금이 2015년 대체투자 비중을 올해 말 5.7%에서 2015년말 10%로 상향조정되면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의 성장세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7월말 현재 국민연금 기금운용액 중 금융부문은 310조원으로 연평균 성장률 10% 가정시 2015년에는 450조원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이중 대체투자금액을 45조원으로 가정하고 사모투자 비중이 27~28%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연기금의 잠재적 자금집행 규모는 12조원 선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프라임브로커리지 사업 진출로 증권사들은 주당순이익(EPS)이 평균 18~2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초기 프라임 브로커리지는 거래 수수료, 레버리지ㆍ대차거래를 통한 이자수익, 상품 판매 수익이 주를 이루면서 운용자산(AUM) 당 약 3%의 마진율을 낼 것”이라며 “초기 프라임 브로커리지 수익 규모가 약 1,500억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프라임 브로커의 EPS는 평균 18~23% 높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