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에너지 절약운동 펼쳐야

에너지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설(2월1일)을 며칠 앞두고 전국적으로 큰 눈과 함께 기습 한파가 몰아치면서 가스 공급에 빨간 불이 켜진 것이다. 국내 전 가구의 60%가 넘는 943만 가구가 사용하는 액화천연가스(LNG)의 재고가 3~4일분에 불과, 에너지 파동으로까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강추위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돼 문제가 여간만 심각한 것이 아니다. 정부가 어제(28일) 에너지 절약 시책을 발표한 것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까닭이다. 에너지 당국에 따르면 올 겨울 들어 LNG에 대한 수급 불안이 겹치면서 국내 비축량은 수요량의 3일치에 불과한 30여만톤으로 떨어졌다. 더욱이 LNG도입량의 절반 이상을 중동에 의존하고 있어 앞날을 예단키 어렵게 됐다. 미국의 이라크에 대한 공격이 2월~3월로 예정돼 있는 데다, 국제 원유가가 요동치고 있어 중동산 LNG공급이 차질을 빚을 경우 최악의 사태도 배제할 수 없다. 어느 때보다도 길고 추운 겨울을 겪게 될지도 모른다. 사실 이번 에너지 위기는 사전에 예고된 바나 다름없다. 그 동안 정부나 민간 모두, 부시 미국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기대를 걸면서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막상 중동전이 현실로 다가오면서 국제 원유가가 널뛰기를 하자 부산을 떨고 있는 것이다. 어제 정부가 발표한 `고유가 대책`도 별다른 내용이 없다. 예전의 에너지 파동 당시의 대책을 그대로 복사, 이를 재탕한 것이나 거의 다름없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올 1ㆍ4분기 중 중동전이 터지지 않았더라도 국내의 LNG의 부족사태와 고유가 등은 불안요인으로 잠재돼 있었다. 문제를 꼬이게 한 것은 중동전 발발이 부상되면서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 고장이 부채질 한 것이다. 지난해 연말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 12기가 가동을 중단하면서 일본이 국제시장에서 사재기에 나선 것이 사정을 더 압박한 것이다. 외신을 통해 이미 알려진 사실을 관계당국이 눈여겨 보았어야 했다. 정부가 어제 에너지 대책을 발표한 것은 어느면 때가 늦은 감이 없지 않다. 유가가 요동친 것은 어제 오늘이 아니고 오래 전 얘기다. 그 동안 대선 분위기에 파묻혀 부상되지 못했을 뿐이다. 정치논리가 경제를 망친 꼴이다. 에너지 위기는 국민의 협조가 있어야 극복이 가능하다. 정부가 아무리 외쳐도 국민이 협조하지 않는 한 힘들다. 미국의 뉴욕 시민들이 여름철 물을 아끼기 위해 화장실 물통에 벽돌 한 장씩을 넣어 두었던 지혜를 생각해 볼 때다. <박동석기자, 문병도기자, 한동수기자 everest@sed.co.kr>

관련기사



박동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