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뒤로가는 외국계은행 채용정책

처우 개선 나서는 시중은행과 달리<br>수익 악화 핑계 비정규직 계약 해지

박근혜 정부 출범과 궤를 같이 하며 비정규직 처우개선에 나서고 있는 시중은행과 달리 일부 외국계은행이 비정규직에 대해 일방통행식 해임절차를 실시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수익성 악화를 타개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지만 상대적 약자인 비정규직만을 희생양으로 삼았다는 비판이 나온다.


9일 금융계에 따르면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은 최근 100여명의 계약직 텔러들에 대한 재계약 심사를 진행한 결과 20여명(20%)에게만 재계약을 통보하고 나머지 인력에 대해서는 계약을 해지했다.

사측은 당초 100여명 전원의 계약을 해지하려 했지만 노조의 강한 반대로 20여명은 구제했다.

비정규직 차별금지법은 비정규직 근로자의 근무기간이 2년을 초과하면 사용자가 이들을 정규직(통상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거나 계약자체를 해지하도록 규정해놓고 있다. 은행권의 경우 창구텔러ㆍ운전 등 단순기능직에 한해 비정규직을 채용한다. 은행들은 초기 교육비용을 고려해 관례적으로 90% 이상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시켜왔다.


최근에는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코드 맞추기의 일환으로 비정규직 직군 자체를 없애거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실시하는 은행들이 늘고 있다.

관련기사



한 시중은행 인사담당 부행장은 "근무태도가 좋지 않거나 고객만족도(CS) 평가가 극히 낮은 일부 인력을 제외하고는 재계약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계약률이 20%에 불과하다는 것은 은행권에서 흔치 않은 경우"라고 말했다.

SC은행의 이 같은 결정은 수익성 악화에 따른 인건비용 절감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의 비용구조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80%에 달해 비용절감의 가장 손쉬운 대안으로 꼽힌다. 비록 비정규직의 임금은 정규직의 80% 수준이지만 복지비용은 정규직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SC은행의 한 관계자는 "전환채용 비율이 줄어든 점은 안타깝지만 연간 수익이 절반 정도로 줄고 내년 전망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말했다.

SC은행은 이에 앞선 지난 2011년 말에도 명예퇴직을 통해 800여명의 인력을 감축했는데 이는 당시 전체직원(6,400여명)의 13%에 달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교육비용이 들어간 직원을 내보낸다는 것은 한동안 동일 직군의 신규인력은 뽑지 않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직원들은 추가적인 구조조정, 업무강도 가중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