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슈 인사이드] 자문委 만들어 의견 수렴… 구성원들이 먼저 통합 동의

■대학과 연구소의 성공적 결합 獨 '카를스루에공대'


과학기술 선진국인 독일에서 대학과 연구기관이 통합한 유일한 사례가 카를스루에공대(KIT)다. KIT는 1825년에 설립된 카를스루에대학교와 1956년 핵관련 연구소로 출발한 카를스루에연구소가 2009년 10월 통합해 만들어진 연구중심대학이다. 카를스루에대는 2006년 독일 연방정부로부터 뮌헨기술대 등과 함께 우수대학으로 선정된 명문대지만 아헨공대나 뮌스터대 등 여타 독일 대학에 비해 국제적 명성이 떨어졌다. 카를스루에연구소는 2002년 독일 내 4대 연구기관 중 하나인 헬름홀츠연구소 산하로 편입됐지만 주목을 받지 못했다. '경쟁력 향상'이라는 공통화두를 안고 있던 두 기관은 교육과 연구개발(R&D) 기능을 합친다면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보고 2005년 2월부터 통합 논의를 시작했다. 볼커 자일레 KIT 과학담당 최고경영자는 "두 기관이 10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지리적으로 가까울 뿐 아니라 오랫동안 교류를 해왔기 때문에 통합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 않았지만 과정이 순탄치 만은 않았다"고 술회했다. 양 기관은 통합에 부정적인 교수와 연구원들에게 대학과 연구소가 합쳤을 경우 얻는 것이 더 크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구소의 경우 대학의 우수한 석ㆍ박사과정 학생을 활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대학은 연구소와 공동으로 수주한 대형 프로젝트에 교수와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을 내세웠다. 구성원 간의 신뢰와 합의를 바탕으로 통합 논의는 순조롭게 진행됐으나 다른 큰 장애물이 가로막았. 상급 기관들의 반대. 카를스루에대는 주 정부 소속이고, 카를스루에연구소는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는데 두 상급 기관이 모두 통합에 부정적이었다. 대학과 연구소간 운영체계가 달랐고, 무엇보다 통합하려면 법을 바꿔야 하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았다. 대학과 연구소는 국제자문위원회를 구성, 통합의 시너지 효과를 제시하며 연방 및 주 정부를 설득하기 시작했고 결국 2009년 7월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에서 KIT 통합 법률을 통과시키는데 성공했다. KIT가 연방 정부와 주 정부로부터 이중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주요 내용이다. 카를스루에대와 카를스루에연구소의 통합에서 주목할 점은 구성원들이 먼저 통합에 동의했다는 것이다. 국내 교육과학기술부가 통합 대상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이나 협의도 없이 정부 차원에서 일방적으로 통합을 추진, 반발만 초래한 것과 대조적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통합으로 양 기관이 동일한 혜택과 권한을 누린다는 점을 명확히한게 주효했다. KIT는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원의 정년이 같고, 연봉 및 연금체계도 동일하게 맞췄다. KIT는 현재 총장이 2명이다. 통합 후 총장을 배출하지 못한 기관에서 소외감을 느낄 수 있어 양 기관의 수장 중 한 명이 은퇴할 때까지 함께 총장을 맡기로 한 것이다. 상대방을 배려하는 점이 눈에 띈다. KIT는 통합으로 연구원만 5,434명, 교수 376명, 학생 1만9,990명을 거느린 연구중심대학으로 거듭났다. 연간 예산이 6억5,500만유로(약 1조원)에 달한다. 6개 영역 30개 분야의 R&D를 진행하고 있는데 신재생에너지와 나노재료, 컴퓨터, 광학, 로봇 등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다. 자일레 최고경영자는 "장기 프로젝트 위주인 연구소가 항공모함이라면 단기 과제 중심인 대학은 전투기인 셈인데, 서로가 가지고 있는 지식을 공유할 경우 효과가 극대화된다"면서 "단순히 교육과 연구기능을 합치는 것을 넘어서 혁신을 이룰 수 있어야 대학과 연구기관 간 통합이 의미를 지닌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