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프랑스 '검은 화요일' 공포 고조

勞·學연대 '최초고용계약법' 반대 26일 총파업 돌입


프랑스 '검은 화요일' 공포 고조 勞·學연대 '최초고용계약법' 반대 26일 총파업 돌입 송영규 기자 skong@sed.co.kr 프랑스 정부는'최초고용계약법(CPE)'파업을 막기 위해 노조 대표자에 이어 학생들과 만났으나 협상에 실패했다. 도미니크 드 빌팽(왼쪽) 프랑스 총리가 지난 25일(현지시간) 질 드 로비앙 교육부장관(가운데)ㆍ장 루이 보를루 노동부장관과 함께 기자회견에서 학생들과의 회동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파리=AP연합뉴스 “프랑스가 ‘검은 화요일(Black Tuesday)’을 향해 나가고 있다.” AFP통신은 28일(현지시간)로 예정된 프랑스 노조의 ‘최초고용계약법(CPE)’ 반대 총파업을 앞두고 프랑스 전역이 ‘검은 화요일’의 먹구름에 휩싸이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교통과 교육ㆍ병원 등 공공서비스 노동자들이 대부분 일손을 놓으면서 프랑스 사회가 ‘올스톱’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노조와 학생들은 이번 파업에서 정부가 납득할 만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더 큰 규모의 파업과 시위를 할 계획이어서 더욱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노ㆍ정 협상 막판 타결 가능성 희박 노조와 학생대표들은 26일(현지시간) 발표한 공동선언문에서 정부가 CPE를 철회하지 않는 한 파업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며 이후 보다 강도높은 대응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프랑스 정부와 재계는 총파업을 막기에 힘이 달리는 모습이다. AP통신에 따르면 쟈크 시라크 대통령은 지난 24일 빌팽 총리와 몇몇 장관과 만나 CPE법에 대해 논의했고, 미쉘 앨리어트 마리 국방장관도 25일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을 강조했다. 프랑스 경제인 연합(MEDEF)도 “일련의 사건들이 우리사회의 경제와 명성을 위협하고 있다”며 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하지만 정부와 시위대의 대화 시도가 별 소득없이 끝났다. 총파업 돌입은 이미 ‘루비콘 강’을 넘어선 것으로 평가된다. 시위대는 이제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CPE 철회를 요구하는 등 초강경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 주 중반까지만 해도 해고기간의 대폭 축소를 주장하기도 했지만, 빌팽 총리와의 회동을 가진 후에는 어디서도 그와 같은 입장을 말하지 않고 있다. 버나드 티보 노동자연맹(CGT) 대표는 26일 프랑스 주간신문 르 주르날 뒤 디망쉬와의 인터뷰에서 “해결책은 CPE의 철회 뿐이며 우리는 그것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프랑스 사회 큰 혼란 불가피 총파업이 예정대로 진행되면 프랑스 사회는 일대 혼란에 빠질 전망이다. 철도ㆍ항공 등 교통은 물론 교사ㆍ우체국ㆍ병원 노조들도 파업에 돌입하는 등 공공서비스 산업은 거의 전 분야에 걸쳐 활동이 중단된다. 파리교통공사(RATP)와 프랑스 국유철도(SNCF)에 따르면 총파업이 일어날 경우 파리 지하철(RER)은 최소 절반 이상, 철도 주요노선은 3분의 2가 운행을 중단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컴퓨터 통제 인력이 시위대에 동참할 경우 교통망 전체가 마비될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항공노조 역시 대부분 파업에 동참하고 있어 항공 노선이 중단되거나 파행 운행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교육도 파행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대학의 4분의 3 이상이 폐쇄되거나 파행 운영되고 있고, 고등학교도 600개교 가량이 문을 닫았으며 교사도 28일 파업에 동참할 방침이다. 우체국ㆍ병원 노조도 파업에 참여할 움직임이다. 노조와 학생 대표들은 29일 오전 모임을 갖고 정부의 대응에 대한 평가를 할 예정이다. 정부가 CPE를 철회하지 않으면 30일 도로와 주요 역을 장악해 ‘점거 시위’에 나서고, 내달 4일에 다시 총파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입력시간 : 2006/03/27 16:4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