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테크포인트] 초저금리와 돈 굴리기

콜금리가 13개월 만에 전격적으로 인하됨에 따라 재테크 전략도 근본적으로 다시 짜야 할 때가 왔다. 은행간 하루짜리 단기자금 거래금리이자 시중단기금리의 기준 역할을 하는 콜금리가 인하되면서 은행들이 또 다시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금리 움직임에 민감한 양도성예금증서(CD)연동 예금금리나 수시입출금식예금(MMDA) 금리 등 단기자금 금리가 가장 먼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초 저금리로 인해 이자수익을 기대하기가 더욱 어려워진 만큼 자산 포트폴리오를 재점검하고 이에 맞는 균형 있는 투자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간접투자 상품에 대한 분산 투자를 통해 이 같은 고민을 해결 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주식ㆍ채권은 물론 현금과 단기 유동성 투자상품에 적절히 분산 투자함으로써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내수경기 부양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금리를 내린 만큼 그 동안 침체돼 있던 주식시장과 주식 관련 상품이 다시 살아날지 여부가 관심이다. 현재 주식관련 상품들의 자산 가치가 크게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한다면 충분히 목표 수익을 달성 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반면 채권투자 상품은 당분간 접근하기가 좀 부담스러운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 지표금리(국고채3년물)가 사상 최저 치까지 떨어진 상황에서 정부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염두에 둔 시장 참가자들의 대응으로 지표금리가 더욱 떨어질 가능성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오정선 외환은행 PB센터 팀장은 “원금 보존형 상품의 비중을 줄이고 주식 비중이 높은 상품으로 자산을 옮기는 것을 고려해 볼만하다”며 “국내 주식시장의 흐름이 불안하다고 느끼는 투자자들은 일본이나 중국ㆍ유럽시장에 투자하는 해외 주식형 상품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주요 은행과 증권사에는 일본ㆍ유럽 등 해외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오팀장은 특히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주식관련 간접투자상품을 권했다. 적금을 붓듯이 일정 금액을 불입함으로써 분할 매수하는 적립식 투자전략을 통해 주식 투자로 인한 리스크를 상당부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