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UAE아부다비 환자 국내서 진료 받는다

국내 의료기관이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보건청과 국가 차원의 첫 환자유치 협약을 체결, 중동지역 의료시장 진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보건복지부는 국내 4개 의료기관이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보건청과 아부다비 환자 유치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협약을 체결한 국내 의료기관은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이다. 이는 외국과 처음으로 체결하는 국가 차원의 환자 유치 협약으로 아부다비 환자들의 국내 송출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내 4개 의료기관은 아부다비에서 송출된 환자를 치료한 뒤 6개월 내 진료비 청구서를 아부다비 보건청에 청구해야 하며 아부다비 보건청은 45일 내 원화로 진료비를 지급하도록 했다. 복지부는 아부다비 보건청과 주한 UAE 대사관 내 관련 업무를 담당할 부서를 설치하기 위한 협의를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아부다비 보건청은 한국으로 송출할 첫 번째 환자를 선정 중이며 늦어도 내년 초부터는 4개 의료기관에 환자를 송출할 예정이다. UAE는 문화적ㆍ환경적 생활습관으로 당뇨병 등 만성질환과 암 발생률이 급증하고 있지만 낮은 의료수준으로 외국 의료기관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국가다. 연간 13만여명의 환자들이 치료를 목적으로 해외 병원을 방문하고 있으며 수도 아부다비는 치료가 어려운 연 3,000명의 환자를 아부다비 보건청 전액 부담으로 외국으로 송출하고 있다. 국내로 송출된 UAE 환자 수는 2009년 16명에서 2010년 54명으로 3배 늘었으며 국내에서 유치한 전체 해외 환자 수가 2009년 6만201명, 지난해 8만1,789명, 올해 11만명으로 급증하고 있다. 중동지역에서 국내로 송출된 환자 수는 2009년 614명에서 2010년 949명으로 증가했으며 지난해 1인당 평균 진료비는 133만원 수준이다. 진료과목은 가정의학과(24.5%)가 가장 많았으며 피부과(8.4%), 소아청소년과(8.3%), 내과(7.4%) 등도 상당수를 차지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제2차 중동 붐인 의료한류(K-Medicine)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