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산북항 재개발계획 재검토"

노대통령 '두바이모델' 뒤집어…정책 혼선 빚을듯

노무현 대통령이 27일 부산 북항 재개발계획 재검토를 지시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부산 북항을 두바이처럼 세계적 해상관광지로 개발하려던 계획에 큰 차질을 빚게 됐으며 해양수산부와 부산시 등이 마스터플랜을 짠 내용의 근본 개념까지 노 대통령이 뒤집음으로써 정책혼선 또한 불가피해졌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부산항만공사에서 열린 부산 북항 재개발 종합계획 보고회에 참석해 해양부와 부산시ㆍ부산항만공사 등이 참여해 만든 재개발 마스터플랜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그림을 너무 크게 그리는 것에 대해서도 고려해볼 일”이라며 “절차를 점차 단계적으로 하는 것도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해 사실상 재검토를 지시했다. 노 대통령은 부산 북항 재개발계획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하면서 개발계획의 기본 개념인 ‘세계적 경제도시’라는 구상에 대해서부터 반대의사를 표시했다. 노 대통령은 특히 “미래 부산시민이 삶의 질을 추구하고 문화적 삶, 환경적 삶을 추구한다고 봤을 때 부산시민에게 행복을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복안은 뭘까 생각해볼 수 있다”며 “두바이 모델로 가지 말고 차라리 시드니 모델이 더 낫지 않나 생각해볼 수 있다”고 언급, 두바이 모델에 대해 회의적 입장을 표시했다. 그는 또 북항 재개발계획과 부산역의 연계에 집착하는 것도 재검토할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노 대통령은 “유라시아 대륙의 관문이라는 것인데 가장 멀리 있고 가능성도 낮으며 부산시민에 대한 혜택도 가장 적다”며 “공간 밀착에 집착하는 데 대해 비판적 문제제기를 하고 싶으며 부산시 전체 구상과도 맞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부산시장이 밝힌 KTX 부산역의 지하화에 대해 노 대통령은 “돈도 2조5,000억원 더 들어가고 시간도 2년 가까이 더 걸리며 기술 기능성과 안정성 등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면서 “좀 더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날 보고된 부산북항 재개발 종합계획은 부산항 1~4항 부두와 중앙부두 등 총 43만평의 사업부지에 9조2,600억원을 투자해 항만시설, 국제교류ㆍ업무, ITㆍ영상ㆍ전시, 복합도심, 해양문화시설로 만든다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에 31조7,000억원, 연간 12만명의 고용창출 등 파급효과를 거둔다는 구상이었으나 대통령의 재검토 지시로 사업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