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 위앤貨 절상논의 가속화 할듯

중국 내에서 최근 거시경제 상황이 위앤화 평가절상을 필요로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위앤화 평가절상 논의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 중국 때리기에 초점이 맞춰졌던 위앤화 평가절상 논쟁도 이제는 경제상황 논리에 따른 `불가피론`쪽으로 옮겨가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중국 내부에서 위앤화 평가절상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은 막대한 페그제 유지비용 때문. 13일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에 따르면 중국은 달러 당 8.27위앤 선에서 환율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해 1,600억 달러를 매입, 외환보유고가 총 4,300억 달러에 달했다. 달러 매입은 곧 위앤화의 통화량 증가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이는 중국 내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실제 지난해 중국의 시중 유동성은 20% 증가, 12월 인플레율이 6%에 육박했다. 그러나 중국 통화당국은 인플레 통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리 딜레마 때문이다. 경기과열과 인플레 진정을 위해서는 금리를 높여야 되지만 이럴 경우 미-중간 금리차 확대를 노린 투기자금이 대거 유입, 페그제 유지비용 증가→인플레 압력 가중 이란 악순환에 빠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국 당국 입장에서는 차선책으로 위앤화 평가절상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 중국 통화당국은 13일 위앤화를 기본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환율 메커니즘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혀 위앤화 평가절상 검토 계획을 시사했다. 특히 이를 논의하기 위해 미 재무부팀이 수주 내 중국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을 위앤화 평가절상 신호로 단정짓기에는 이르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아직도 페그제 유지에 따른 이점이 있는데다 조기 평가절상을 단행할 경우 외압에 굴복했다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은행권 구조개혁이 선결돼야 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최대한 시간 벌기에 나설 것이란 분석이 많다. <김창익기자 window@sed.co.kr>

관련기사



김창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